NEC 법규/기타
LED조명에서 왜 고조파가 많이 나올까?
NEC MASTER
2025. 7. 20. 07:17
반응형
✅ 결론부터 말하면:
LED 조명은 안에 "스위칭 전원회로(정류기, 컨버터)"가 들어 있어서 고조파 전류를 만들어냅니다.
🔧 1. LED 조명 구조 먼저 이해해볼게요
LED는 단순히 "전구"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이렇게 생겼어요:
즉, LED는 직류(DC) 전원으로 동작하는 장치입니다.
그런데 우리 집 전원은 교류(AC) 전기이니까,
→ 중간에 **AC를 DC로 바꿔주는 회로(정류기)**가 꼭 필요해요.
⚡ 2. 이 정류기/컨버터가 고조파의 원흉!
이 정류기 회로는 어떻게 동작하냐면요:
- AC 전압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될 때만 짧은 시간에 전류를 흡수해요.
- 이 전류가 아주 짧고 뾰족한 파형(≠ 정현파)입니다.
- 이런 파형은 고조파 성분이 매우 많아요!
📉 정현파가 아니라 찌그러진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 고조파 전류가 전력계통으로 역류하게 돼요.
🧪 전류파형 예시
구분 전류 파형 고조파 많음?
💡 형광등(인덕터식) | 거의 정현파 | 고조파 적음 |
🔌 저항부하(히터) | 완전 정현파 | 없음 |
🔋 LED 조명 | 찌그러진 스파이크형 | 고조파 매우 많음 |
⚠️ 3. LED는 특히 소형이고 개별 동작이 많다
- 요즘 조명은 전부 LED로 바뀌었죠?
- 형광등처럼 하나의 안정기로 여러 개 제어하는 게 아니라,
LED 개별 조명마다 전원회로가 따로 있음 - 이 수백 개의 고조파 소스들이 한꺼번에 작용
즉,
작은 고조파 소스가 모이면 결국 큰 고조파 부하가 됨!
🎯 4. 실무에서 LED 조명 고조파로 생기는 문제
문제 설명
⚡ 배선 중성선 과열 | 고조파가 중성선에 몰림 |
🌀 전압왜형률 증가 | 인버터, 센서 등 오동작 유발 |
📉 전력 품질 저하 | 정밀 장비 이상 동작, 수명 단축 |
🔥 누전차단기 오동작 | 고조파가 차단기 동작에 간섭 |
🔧 대응 방법 (실무용)
- LED 조명에 역률개선(PFC 회로) 있는지 확인
- 고조파 필터 장착
- 조명 전원회로를 고조파 억제형으로 선택 (THDi 낮은 제품)
- 배선 시 중성선 사이징 강화
- 조명용 전용 차단기/누전기 사용
🔚 마무리 요약
LED 조명은 DC 구동 + 스위칭 전원 회로로 인해 고조파를 발생시킴
정현파 전류가 아니라 찌그러진 전류 → 고조파 유발
많은 개수로 설치되므로 고조파 누적 → 전력계통에 문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