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C 법규/기타
전력품질 분석기(PQ Analyzer)는 주로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나?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전기사고/고장 분석 사례/예시
NEC MASTER
2025. 7. 26. 08:32
반응형
✅ 1. 전력품질 분석기(PQ Analyzer)는 주로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나?
- 정기 점검 시 잠깐 연결해서
🔌 전력 품질 문제 유무 확인
- 설비 이상 발생 시 원인 파악용으로 단기간 설치
🔍 "왜 UPS가 꺼졌지?", "모터가 이상하게 작동해" 등의 원인 확인
- 에너지 절감 컨설팅, 부하 특성 조사
👉 그래서 보통은 일시적 또는 단기적 설치가 많습니다.
✅ 2. 잠깐 연결했을 때 분석 가능한 항목들
측정 항목설명
🔌 전압/전류의 RMS값 | 각 상의 평균 전압, 전류 |
⚖️ 불평형률 (Voltage/Current Unbalance) | 상 간 전압/전류의 불균형 정도 (역상 추정 가능) |
🔁 THD (Total Harmonic Distortion) | 고조파 분석 (3rd, 5th, 7th 등) |
📉 전압 강하(Sag), 상승(Swell), 순간정전 | 일정 임계값 이상 변화시 이벤트 기록 |
⏳ 주파수 변화 | 계통 안정성 확인 |
🔃 역률(Power Factor) | 부하의 성능 평가, 역률개선 필요성 파악 |
🔎 디맨드(최대 수요전력) | 피크 전력 관리 목적 |
🌐 파형 캡처 | 특정 이벤트 발생 시 전압·전류 파형 저장 |
⚠️ 3. 영상(0상), 역상(음상) 전류/전압 분석은?
일시적으로 측정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제한적입니다:
- ❌ 지락 고장이나 사고 상황이 아니면 0상 전류는 거의 안 생김
- ❌ 역상(음상)은 비대칭 부하나 고장 때 의미 있음
- ✅ 그러나 **불평형률(Unbalance%)**로 역상 전류/전압의 간접적 크기는 추정 가능
→ 예: IEC 61000-4-30 기준으로 전압 불평형률 2% 이상이면 문제
🧠 쉽게 정리하면:
구분 가능 여부 설명
✅ 정상 상태 전압/전류 RMS, THD, 역률 등 | 가능 | 가장 기본적인 측정 |
✅ 순간 정전, 전압강하 등 이벤트 | 가능 | 시간 해상도 좋음 |
⚠️ 역상, 영상 성분 | 간접 추정 가능 | 불평형률로 추정, 고장 없으면 거의 0 |
❌ 실제 고장 전류 분석 | 어렵거나 불가능 | 고장기록계, 보호계전기 필요 |
✅ 결론
전력품질 분석기는 고장을 직접 보는 장비라기보다는
“전기 상태를 건강검진”하듯 보는 장비입니다.
고장이 나지 않았다면 영상·역상 성분은 거의 없고,
불평형률과 고조파를 통해 이상 유무를 파악하는 게 주 목적이에요.
⚠️ 4. 전기사고/고장 분석 사례/예시
위에 보여드린 표는 실제 전력품질 분석기(PQ Analyzer) 리포트 예시로, 사고 발생 전후의 데이터 변화를 가정한 것입니다.
특히 6번째 줄(14:05)부터 이상 징후가 나타나고, 7~8번째 줄에서 심각한 고장 상태로 전이됩니다.
🔍 분석 포인트 요약:
항목 설명
🔺 Voltage Unbalance (%) | 14:05부터 6.2%까지 상승 → 심각한 전압 불평형, 역상 성분 증가 의미 |
⚠️ Current Unbalance (%) | 14:06에 25% → 상 간 전류 불균형, 부하 불평형 또는 단락 가능성 |
⚡ Zero-sequence Current (A) | 14:06에 12.0A → 접지 고장 가능성 매우 높음 (영상 전류 발생) |
🌀 Negative-sequence Voltage (V) | 14:06에 28V → 역상 전압이 크게 발생, 계통 비대칭 심각 |
🧠 요약 해석:
- 14:00~14:04: 정상적인 전력 상태 (약간의 불평형만 존재)
- 14:05: 이상 시작 — 전압 불평형률 및 영상 전류, 역상 전압 증가
- 14:06~14:07: 사고 발생 구간 — 영상 전류, 역상 전압 급증 → 접지 고장 또는 한 상 이상 손상 가능성
- 14:08 이후: 점차 회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