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C 법규/기타
GMD (Geometric mean distance =기하평균거리) 가 쓰이는 주요 분야
NEC MASTER
2025. 8. 10. 13:46
반응형
📌 GMD (Geometric mean distance =기하평균거리) 가 쓰이는 주요 분야
- 송전선로 인덕턴스 계산
- 3상 송전선로의 단위 길이당 인덕턴스 LL를 계산할 때,
도체 간 거리를 GMD로 대표값처럼 사용합니다. - 예:
- 3상 송전선로의 단위 길이당 인덕턴스 LL를 계산할 때,
여기서 GMR(Geometric Mean Radius)은 도체 반경의 기하평균입니다.
- 선로 정전용량(Capacitance) 계산
- 도체 간 전기적 간격이 커질수록 정전용량은 줄어듭니다.
- GMD를 통해 상 간 전위 차를 결정하는 전계 해석에 사용됩니다.
- 전계(EMF)와 자계(MF) 설계 평가
- 송전선로 근처 전계·자계 값 계산 시,
도체 배치와 간격을 GMD로 단순화하여 계산합니다.
- 송전선로 근처 전계·자계 값 계산 시,
- 다회선(이중회선) 송전선로 설계
- 한 회선의 물리적 간격이 일정하지 않을 때,
GMD를 사용해 균등배열 등가모델로 변환 후 계산.
- 한 회선의 물리적 간격이 일정하지 않을 때,
- 장거리 송전 설계 시 경제성 평가
- 인덕턴스·정전용량 → 송전손실, 안정도, 전압변동률 계산 →
이를 토대로 도체 배치, 크로스암 길이, 철탑 구조 결정.
- 인덕턴스·정전용량 → 송전손실, 안정도, 전압변동률 계산 →
💡 쉽게 말하면
GMD는 복잡한 도체 배열을 하나의 평균 간격으로 단순화해
전기적 특성(인덕턴스·정전용량)을 빠르고 표준적으로 계산하기 위한 값이에요.
실무에서는 송배전 설계, 인덕턴스·정전용량 표 작성, EMF 해석 등에 꼭 들어갑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