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C 법규/기타

자동방화셔터의 부품 중 하나인 유도 전동기(모터)는 자꾸 자주 고장이 날까?(Feat. 유도 전동기(모터)의 권선의 절연 코팅 파괴, 절연열화, 타거나 연기나는 현상, 소음 등 이상징후)

NEC MASTER 2025. 8. 10. 14:26
반응형

자동방화셔터 모터의 잦은 고장은 토크 특성과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특히 방화셔터는 평상시에는 가만히 있다가 비상 시시험 운전순간적으로 큰 토크가 필요한 구조라서, 모터에 부하가 많이 걸립니다.

 


🔍 왜 토크가 고장과 관련 있는가

  1. 기동 토크가 매우 큼
    • 셔터를 처음 움직일 때는 관성(무게)과 마찰을 극복해야 하므로 정격 운전 시보다 훨씬 큰 토크가 필요합니다.
    • 기동 시 전류가 정격의 5~7배까지 증가하면서 권선 발열이 심해집니다.
  2. 정지-기동 반복
    • 방화셔터는 매일 지속적으로 돌지 않고, 가동할 때마다 정지 → 급기동 패턴이 반복됩니다.
    • 이때 큰 토크와 전류가 반복적으로 가해져 모터 절연 열화가 빨라집니다.

🔌 토크·전류와 모터 절연의 관계

모터 내부에는 **권선(구리선)**이 감겨 있고, 그 위에는 **절연 코팅(에나멜)**이 있어요.
이 절연이 전기적으로는 누전 방지, 물리적으로는 구리선 보호 역할을 합니다.

1. 큰 토크 → 큰 전류

  • 토크가 크면 그만큼 모터가 더 많은 힘을 내야 하고,
  • 힘을 내기 위해 전류가 많이 흘러야 합니다.
  • 전류가 커질수록 I²R 발열이 커집니다. (전류의 제곱 × 저항 = 열)

2. 반복적 과열 → 절연 수명 단축

  • 전류로 생긴 열이 반복적으로 쌓이면 절연 코팅딱딱해지고 갈라지거나 녹음.
  • 한 번 과열될 때마다 절연 수명이 크게 줄어듭니다.
    (예: 10°C 온도 상승마다 절연 수명이 절반으로 줄어든다는 통계 있음)

3. 절연 손상 → 고장

  • 절연이 손상되면 구리선이 서로 닿아 부분 단락(쇼트) 발생.
  • 이때 전류가 폭증해 모터가 타버리거나, 차단기가 작동해서 멈춥니다.
💡 쉽게 말하면
모터 절연은 사람 피부랑 비슷해요.
큰 토크·큰 전류는 피부를 반복적으로 데우는 뜨거운 불판 같은 거예요.
한두 번은 괜찮지만, 자주 반복하면 피부가 갈라지고 결국 화상 입듯이
모터 절연이 손상됩니다.




산업 현장이나 건물 기계실처럼 부하가 무겁고, 환기가 부족하며, 모터가 자주 기동하는 환경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 모터 절연 손상 → 화재로 이어지는 과정

  1. 절연 손상
    • 반복 과열, 진동, 습기, 먼지 등으로 절연이 갈라지거나 벗겨짐
    • 구리 권선끼리 또는 권선-철심 간 전기적 접촉 발생 (부분 방전, 단락)
  2. 국부 발열 (Localized Heating)
    • 단락된 부분에서 **아크(arc)**와 고온 스파크 발생
    • 온도가 순간적으로 수백~수천 ℃까지 상승
  3. 절연재와 주변 먼지 발화
    • 절연재는 보통 에나멜, 바니시, 수지인데 가연성 재료입니다.
    • 모터 내부 먼지, 기름찌꺼기와 결합해 쉽게 착화
  4. 화재 확산
    • 모터 내부 불이 커져서 코일, 베어링 그리스, 인근 전선 절연을 태움
    • 인접 장비나 케이블 트레이로 불이 번짐

📌 실제 사례에서 많이 발견되는 원인

  • 팬, 펌프, 셔터처럼 순간적인 큰 토크와 전류가 자주 필요한 장치
  • 환기 안 되는 밀폐된 모터 하우징 → 열이 잘 안 빠짐
  • 정기 절연저항 측정을 하지 않아서 열화 상태 방치
  • 먼지·기름이 쌓여서 발화 위험 가중
💡 정리
모터 절연 화재는 한 번 시작되면 진화가 어렵고, 원인 추적이 복잡합니다.
그래서 실무에서는 절연저항 측정, 열화 예측, 모터 온도 모니터링을 필수로 하고,
특히 방화셔터 모터처럼 비상 시 큰 부하를 받는 장치는 예방 정비 주기를 짧게 잡습니다.

 

 

 

  1. 과부하 상태에서의 운전
    • 셔터의 레일에 먼지, 녹, 변형이 있으면 마찰이 증가해 모터 토크 요구량더 커짐.
    • 요구 토크가 모터 정격 토크보다 크면 장시간 사용 시 권선, 베어링, 기어가 손상됩니다.
  2. 기계적 충격
    • 토크가 크면 모터가 전달하는 기계적 충격기어, 체인, 커플링 등에 전해져
      베어링 손상, 축 틀어짐 등 기계 부품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

💡 실무 개선 방안

  • 소프트스타터인버터 제어로 기동 토크를 부드럽게 조절
  • 셔터의 윤활 상태가이드 레일 청소 정기 점검
  • 모터를 정격보다 여유 있는 토크 용량으로 교체
  • 기동 횟수와 시간을 줄여 모터 발열 누적 방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