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NEC 법규/기타

NEC에 따른 Class와 Division 구분/위험장소에 설치하는 전기기기 종류/Zone 방식

by NEC MASTER 2025. 4. 29.
반응형

✅ Class와 Division 구분

1️⃣ Class (클래스: 위험물질 종류)

  • Class I
    : "인화성 가스, 증기"로 인한 위험 (ex. 휘발유, 프로판가스)
  • Class II
    : "가연성 먼지"로 인한 위험 (ex. 밀가루 가루, 알루미늄 분진)
  • Class III
    : "섬유나 부스러기"로 인한 위험 (ex. 목재 가공현장의 섬유 먼지)

👉 여기서 에어로졸은 "가스 형태"라서 Class I에 해당할 수 있죠.
(하지만, 아까처럼 정상 상황에서 방출이 없으면 Unclassified!)


2️⃣ Division (디비전: 위험 발생 빈도)

  • Division 1 (디비전 1)
    : 항상 또는 자주 위험 물질(가스, 먼지)이 존재하는 곳
    (예: 휘발유 주유 중인 장소, 공장 생산라인)
  • Division 2 (디비전 2)
    : 비정상 상황에서만 일시적으로 위험 물질이 생기는 곳
    (예: 저장탱크가 새거나 파손되었을 때만 가스가 나오는 경우)

✅ 표로 정리하면

구분설명예시
Class I, Division 1 항상 인화성 가스/증기가 있는 곳 주유소 주유구 주변
Class I, Division 2 비정상 시만 가스/증기가 나오는 곳 연료탱크 근처 (정상시 밀폐)
Class II, Division 1 항상 가연성 먼지가 있는 곳 제분소 밀가루 공장 내부
Class II, Division 2 비정상 시 먼지가 쌓일 가능성 있는 곳 포장라인 주변

✨ 초간단 요약

Class = 위험물 종류 (가스/먼지/섬유)
Division = 위험이 항상 있냐(Div 1), 비정상시에만 있냐(Div 2)

 

 

 


✅ 위험장소에 설치하는 전기기기 종류

구분필요한 전기기기 특징설명
Class I, Division 1 방폭형(Explosion-proof) 기기 기기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해도 외부로 불꽃이 퍼지지 않게 설계된 기기 (두꺼운 금속 케이스 등)
Class I, Division 2 방폭형 또는 비점화성(Non-incendive) 기기 평소에는 안전하지만, 비정상 상황에서도 점화를 일으키지 않는 기기 사용
Class II, Division 1/2 방진형(Dust-tight) 또는 방폭형 기기 먼지 침투 방지 + 먼지로 인한 발화 방지 기능
Class III 방진형(Dust-tight) 정도로 충분 섬유먼지 수준은 상대적으로 위험이 낮아서 방진만 해도 됨

🔹 방폭형 기기(Explosion-proof) 예:

  • 방폭 조명
  • 방폭 모터
  • 방폭 콘센트

👉 방폭형 기기는 기기 외함(케이스)이 두꺼워서 내부 폭발에도 외부로 불꽃이 새지 않아요!


✅ Zone 방식이란?

Zone 방식은 Class/Division 방식과 비슷하지만,
유럽식 국제 기준(IEC / ATEX) 스타일로 더 세분화해요.

구분의미Class/Division 대응
Zone 0 항상 가연성 가스가 있는 곳 Class I, Div 1
Zone 1 가끔 가연성 가스가 존재하는 곳 Class I, Div 1
Zone 2 비정상 상황에만 가스가 나오는 곳 Class I, Div 2

🔹 간단히 정리하면:

  • Zone 0 = 위험 항상
  • Zone 1 = 가끔 위험
  • Zone 2 = 거의 안전 (비정상시에만 위험)

🔹 Zone 방식 특징:

  • 더 세밀하게 구분 (Zone 0/1/2)
  • Class/Division보다 더 구체적인 설계 가능
  • 국제 인증(IECEx, ATEX) 제품이 주로 Zone 기준 따름

✨ 쉽게 요약

방폭형 기기: 위험지역에서 사용되는 두꺼운 금속 외함 기기
Zone 방식: 위험의 '빈도'에 따라 0, 1, 2로 더 촘촘하게 나눈 것

 


✅ NEC(미국 전기규정)에서 "Class, Division, Zone"이 나오는 부분

📚 1. NEC Article 500 ~ 516

이 범위가 전부 "Hazardous (Classified) Locations" (위험장소) 규정입니다.

Article내용
500 Hazardous (Classified) Locations, General (기본사항, Class/Division/Zone 개요 설명)
501 Class I (가연성 가스/증기) 위험장소의 상세 규정
502 Class II (가연성 먼지) 위험장소의 상세 규정
503 Class III (섬유 먼지) 위험장소의 상세 규정
504 Intrinsically Safe Systems (본질 안전 방폭 방식)
505 Zone 0, 1, 2 방식에 대한 규정 (유럽/국제 기준 Zone 채택 설명)
506 Zone 20, 21, 22 (가연성 먼지용 Zone 방식)
510 ~ 516 특정 산업별 위험장소 규정 (석유정제소, 페인트스프레이, 분말가공 등)

✅ 정리하면

구분관련 NEC 조항핵심 내용
Class/Division 정의 Article 500 Class I/II/III, Division 1/2 구분 설명
위험장소용 전기기기 종류 Article 500, 501, 502, 503 방폭형, 비점화성 기기 등 설치 요건
Zone 방식 채택 Article 505, 506 Zone 0/1/2 (가스), Zone 20/21/22 (먼지) 구분 기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