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변압기5

접지저항기(Neutral Grounding Resistor, NGR) ⚡ 1. 접지저항기(Neutral Grounding Resistor, NGR)가 많이 쓰이는 장소대형 변압기(고압·특고압 변전설비)변압기 중성점(N)을 직접 접지하면 지락 시 전류가 너무 커져 설비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중성점에 접지저항기를 넣어 전류를 제한합니다. 발전소, 변전소, 대형 공장 등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대형 유도전동기(수백 kW~MW급)이런 모터는 지락 사고 시 전류가 매우 커서, 모터 권선이나 케이블 손상이 발생할 수 있어요.그래서 모터 전용 변압기 중성점이나 전동기 회로에 저항접지 방식을 적용합니다.산업 현장 (철강, 화학, 반도체, 플랜트 등)공정이 멈추면 큰 손실이 생기기 때문에, 지락 시 바로 정전되는 직접접지 대신 저항접지를 사용해 전류를 제한하고 설비를 보호합니다.⚡ 2.. 2025. 8. 30.
전기기기(변압기, 유도전동기)에서 자기포화(magnetic saturation)가 발생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현상, 화재 등 사고사례, 예방대책, 점검방법 코어가 쉽게 포화되면 전기기기(특히 변압기, 유도전동기)에서 여러 가지 부정적 영향이 생깁니다. 🔍 코어 포화 시 발생하는 현상자기 회로(코어)가 더 이상 자속을 흡수하지 못함자속(Φ)이 증가하지 않고, 대신 코어는 "벽"에 부딪힌 것처럼 포화됨.그 결과 전류는 계속 늘어나는데, 자속은 거의 증가하지 않음.무효전류(자화 전류) 급증보통 기기는 작은 무효전류만 필요하지만, 포화되면 큰 무효전류가 흐름.이는 전력 손실(열)과 전압 파형 왜곡을 일으킴.전압 파형의 왜곡 (고조파 발생)코어가 포화되면 자속-전류 관계가 비선형이 됨.이 때문에 **전압과 전류에 고조파(harmonics)**가 생겨 다른 기기에 간섭을 줌.코어 과열 & 절연 열화불필요하게 큰 전류가 코일을 흐르면서 권선 발열 증가.절연재가 열에 .. 2025. 8. 16.
변압기를 병렬(parallel)로 연결할 수 있는 경우, 병렬운전이 가능한 조건 변압기를 병렬(parallel)로 연결할 수 있는 경우는 몇 가지 조건이 딱 맞아야 해요.✅ 병렬운전이 가능한 조건같은 권선 결선 방식예: 두 변압기 모두 Y-Y 또는 모두 Δ-Δ여야 해요.(Y-Δ 와 Y-Y처럼 서로 다른 결선이면 30° 위상차가 생겨서 ❌)전압비(턴비, Turns ratio)가 같아야 함1차 전압과 2차 전압의 비율이 같지 않으면 한쪽이 더 높은 전압을 보내서,다른 쪽 변압기와 전류가 엇갈려 흘러요.극성(Polarity)이 같아야 함변압기의 “+”와 “–” 방향이 같아야지, 반대로 연결되면 바로 쇼트(단락)나버려요 ⚡.임피던스(%)가 같거나 비슷해야 함%Z가 다르면 부하가 고르게 나눠지지 않고, 한쪽이 과부하 걸려요.용량(kVA) 비율이 맞아야 함너무 큰 차이가 나면 작은 쪽이 빨리 .. 2025. 8. 16.
변압기 낙뢰 보호를 위한 서지 어레스터(Surge Arrester)의 최적 위치 🔸 왜 낙뢰는 주로 고압선(예: 12kV) 쪽에서 발생할까?낙뢰가 고압선에 더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단순히 "전압이 높아서"가 아니라, 다음과 같은 물리적·전기적 특성 때문입니다:✅ 1. 높은 위치에 설치됨 (가장 중요한 이유)고압 송전선(예: 12kV, 22.9kV, 154kV)은 높은 전봇대나 철탑에 설치되어 있음높을수록 낙뢰를 먼저 맞을 확률이 큼 (낙뢰는 가장 가까운 도체로 떨어지려 함)🔹 예시:저압선은 건물 2~3층 높이고압선은 고층 건물보다 높은 철탑 위 → 당연히 고압선이 낙뢰에 더 노출됨✅ 2. 접지 전위와 큰 전위차낙뢰는 구름과 지면 사이의 전위차 때문에 발생하는데,고압선은 이미 전위가 수천 볼트 이상이므로,→ 낙뢰 전류가 "도체를 통해 지면으로 흘러가기 쉬움"즉, 낙뢰의 경로가 되기.. 2025. 6. 29.
변압기 1차측/2차측 과전류 보호 기준(Transformer Overcurrent Protection Standards), 차단기 용량(암페어, A) 산정(선정) 규정(법령, 법규, 기준, 규칙, 법, 근거, CODE, 코드) 🔹 NEC (미국) ARTICLE 450 — TRANSFORMERS AND TRANSFORMER VAULTS (INCLUDING SECONDARY TIES) 450.3 Overcurrent Protection.  Overcurrent protection of transformers shall comply with 450.3(A), (B), or (C).  As used in this section, the word transformer shall mean a transformer or polyphase bank of two or more single-phase transformers operating as a unit. 📌 450.3 과전류 보호(Overcurrent Protection) 규정 해석 .. 2025. 3.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