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NEC 법규/기타21

건물, 빌딩의 공조기 팬(휀)을 PWM 제어로 어떻게 속도 제어하는가? 🧩 구조부터 알아보자: 공조기 시스템 구성공조기(AHU, FCU 등)에 들어가는 팬은 주로 BLDC 모터 또는 인버터형 AC 모터가 사용됩니다. 🔧 구성 예시: 🔄 제어 흐름 예시 (건물 냉방 시나리오) 1️⃣ 현재 온도 측정실내 온도가 28도, 설정온도는 24도→ DDC 컨트롤러(혹은 BEMS 시스템)가 온도 차이를 계산 2️⃣ 필요 풍량 계산온도가 많이 높으면 → 빠르게 식혀야 하니까 풍량↑ (속도↑)온도차가 작으면 → 천천히 식혀도 되니까 풍량↓ (속도↓) 3️⃣ PWM 신호 생성DDC가 속도에 맞게 **PWM 신호의 듀티비(Duty Ratio)**를 결정예시:80% 듀티비 → 팬 속도 80%40% 듀티비 → 팬 속도 40% 4️⃣ PWM 신호가 팬 드라이버로 전달이 신호를 받은 팬 드라이.. 2025. 7. 27.
구형파(Square Wave) 방식으로 인버터를 제어하는 이유? 실무에서 사용하는 인버터 제어 방식? VFD, VSD, PWM제어방식? ✅ 구형파 방식 제어란?각 상의 위쪽 또는 아래쪽 스위치를 일정 시간 온/오프하며 +DC 또는 –DC 전압을 상에 인가하는 방식모터 출력에는 정현파가 아닌 구형파 형태의 전압이 인가됩니다.⚙️ 왜 구형파 제어를 쓸까? (장점)1. 구현이 매우 간단함제어 회로가 단순:PWM, DSP 연산 없이도 간단한 순차 제어 회로로 구현 가능전자 스위치(IGBT, MOSFET)의 온/오프 제어만으로 동작2. 고속 스위칭이 필요 없음 → 손실 적음구형파는 스위치를 한 번 켜면 일정 시간 유지➝ PWM 제어보다 스위칭 손실, EMI(노이즈) 발생이 적음3. 저속에서 토크가 큼구형파 전압을 걸면 전류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 **시동 토크(starting torque)**가 큽니다➝ 저속 또는 부하가 큰 모터에 유리4. 비용.. 2025. 7. 27.
전파정류기(full-wave rectifier) + 평활 커패시터(filter capacitor) 회로에 대하여? 화재 발생 이유? 🔧 전파정류기 + 평활 커패시터 회로, 어디에 쓰일까?✅ 1. AC → DC 변환이 필요한 모든 곳교류(AC)를 직류(DC)로 바꿔야 할 때 가장 기본적인 회로커패시터는 **리플(ripple)**을 줄여서 DC를 부드럽게 만듦🏭 대표적인 실무 활용 사례 분야 활용 예시 설명 💻 전자제품노트북/휴대폰 충전기, TV, 모니터 내부 전원부AC 전원을 받아 내부에서 DC로 변환함 (보통 스위칭 전원 앞단)🔌 전원공급장치산업용 DC 전원장치, DC 컨버터 앞단고전류가 필요한 장비에 기본 전력 변환 단계.. 2025. 7. 26.
전력품질 분석기(PQ Analyzer)는 주로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나?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전기사고/고장 분석 사례/예시 ✅ 1. 전력품질 분석기(PQ Analyzer)는 주로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나?정기 점검 시 잠깐 연결해서🔌 전력 품질 문제 유무 확인 설비 이상 발생 시 원인 파악용으로 단기간 설치🔍 "왜 UPS가 꺼졌지?", "모터가 이상하게 작동해" 등의 원인 확인 에너지 절감 컨설팅, 부하 특성 조사👉 그래서 보통은 일시적 또는 단기적 설치가 많습니다.✅ 2. 잠깐 연결했을 때 분석 가능한 항목들 측정 항목설명 🔌 전압/전류의 RMS값각 상의 평균 전압, 전류⚖️ 불평형률 (.. 2025. 7. 26.
전기사고, 고장 시 이를 실시간으로 측정, 분석을 하는지? 어떤 장비를 사용하는지? ✅ 1. 실제로 이런 성분(양상, 음상, 0상 전류, 전압)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나?그렇습니다. 실시간으로 측정합니다.다음과 같은 장비들이 사용됩니다:디지털 보호계전기 (Digital Protective Relay)파형기록장치 (Digital Fault Recorder, DFR)고장기록계 (Fault Recorder)전력품질 분석기 (PQ Analyzer)이 장비들은 사고가 발생하면 다음을 자동으로 기록합니다:세상(3상)의 전류·전압 파형대칭 성분 (I⁺, I⁻, I⁰)고장 시간, 지속 시간, 고장 전·후 상태주파수, 전압 불균형 등✅ 2. 이런 분석은 어느 업종/장소에서 주로 하나요?📍 고장 분석이 중요한 주요 분야: 업종/장소 .. 2025. 7. 26.
전기사고, 고장과 음상전류, 영상전류와의 관계, 전기사고, 고장 시 양상/음상/영상 으로 표현하는 이유? 🔧 1. 고장이 나면 “비대칭”이 생긴다3상 전류 시스템은 원래 이렇게 생겼어요:⚡ A상, B상, C상 → 크기 같고, 120도씩 위상차 있음 → 완벽한 대칭 (양상만 존재) 하지만 고장이 나면...예: **한 가닥(A상)**만 끊김예: 한 가닥이 접지됨예: 두 가닥이 단락됨➡ 이런 상황에서는 각 상의 전류가 달라짐 (즉, 비대칭 발생)💥 2. 비대칭 전류는 양상만으로 표현 불가능A상, B상, C상이 다르게 흐르면,이걸 기존의 "양상(정상 회전)"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습니다.그래서 수학적으로 “양상 + 음상 + 0상”으로 분해하는 거예요!음상 전류 (–상)↪ 회전 순서가 반대인 성분 → 고장 위치 주변에서 불균형을 보정하려는 방향 0상 전류 (0상)↪ 모든 상에서 같은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 → 주로 .. 2025. 7.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