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전파정류기 + 평활 커패시터 회로, 어디에 쓰일까?
✅ 1. AC → DC 변환이 필요한 모든 곳
- 교류(AC)를 직류(DC)로 바꿔야 할 때 가장 기본적인 회로
- 커패시터는 **리플(ripple)**을 줄여서 DC를 부드럽게 만듦
🏭 대표적인 실무 활용 사례
분야 활용 예시 설명
💻 전자제품 | 노트북/휴대폰 충전기, TV, 모니터 내부 전원부 | AC 전원을 받아 내부에서 DC로 변환함 (보통 스위칭 전원 앞단) |
🔌 전원공급장치 | 산업용 DC 전원장치, DC 컨버터 앞단 | 고전류가 필요한 장비에 기본 전력 변환 단계 |
🏭 공장 자동화 | PLC, 센서, 제어모듈 전원 | 공장에서는 대부분 AC 인입 → DC 변환 필요 |
⚙️ 모터 구동 | DC 모터, 서보 모터, BLDC 구동 | 드라이버 내부에서 AC → DC 변환 필요 |
🔋 배터리 충전 | 충전기 회로 | 배터리는 DC로 충전되므로 필수 |
🚙 전기차/EV | 온보드 충전기(OBC) 및 인버터 내부 | 차량 내 전력변환 회로에 기본 구조로 포함 |
🔬 의료기기 | MRI, 초음파, CT 등 내부 전원회로 | 노이즈에 민감한 장비에 리플을 줄이기 위해 사용 |
⚡️ 실무에서의 특성 및 고려사항
항목 설명
⚠️ 충전 전류가 순간적으로 매우 큼 | → 커패시터 충전 시 중성선 전류가 왜곡됨 |
🔁 고조파 발생 | → 설계 시 고조파 필터 또는 PFC 회로 필요 |
🔧 커패시터 용량 선정 중요 | 너무 작으면 리플 큼, 너무 크면 돌입전류 과다 |
🧯 보호 회로 필요 | 서지전류 억제, 방전저항, 서미스터 등 고려 |
🧠 요약 정리
전파정류기 + 평활 커패시터 회로는 모든 AC → DC 변환의 출발점이며,
전자제품부터 산업용 장비까지 거의 모든 분야에서 쓰이는 기본 회로입니다.
🔥 전파 정류기 + 평활 커패시터 회로에서 화재가 나는 이유
1. 커패시터 과열 및 폭발
- 원인:
- 커패시터는 DC 전압을 평활화하기 위해 전류를 순간적으로 충전/방전합니다.
- 정격 전압 이상의 서지 전압(예: 낙뢰, 스위칭 서지)이 가해지면 내부 전해액이 과열되며 가스가 발생.
- 과도한 리플 전류 → 열화 및 내부 단락.
- 결과:
- 전해액 증발 → 내부 압력 상승 → 터지거나 불꽃 발생.
2. 다이오드(정류기) 과열
- 원인:
- 평활 커패시터가 크면 충전 시 **순간 돌입 전류(inrush current)**가 매우 큼 (수십~수백 A).
- 이 돌입전류가 반복되면 다이오드가 열화 및 단락.
- 결과:
- 다이오드 과열 → 패키지 파손 또는 발화 위험.
3. 방열 부족
- 원인:
- 충전기 같은 소형 기기는 열 방출(방열 설계)이 부족할 수 있음.
- 특히 **고출력 충전기(고전류)**는 다이오드 및 커패시터 발열이 크다.
- 결과:
- 주변 부품 온도가 높아져 PCB 변색, 절연 파괴, 발화 가능성.
4. EMI 필터 및 기타 보호 소자 문제
- 원인:
- 정류기 입력단의 **필터 커패시터(X, Y캡)**나 NTC 서미스터가 불량이면 과열.
- 낙뢰나 과도 전압으로 보호소자가 소손될 때 불꽃 발생.
5. 제조 불량 / 품질 문제
- 원인:
- 저가 부품(특히 저품질 전해커패시터)이 오래 쓰이면 팽창, 누액이 발생.
- 중국산 저가 전자제품에서 화재가 빈번한 이유 중 하나.
🧠 쉽게 요약
- 커패시터: 과전압, 열화, 리플 과다 → 폭발 가능.
- 다이오드: 돌입 전류로 과열 → 파손 시 불꽃.
- 방열 부족: 내부 온도 상승 → 절연 파괴/화재.
- 보호소자 불량: 서지·노이즈 대응 실패 → 화재 유발.
🔧 실무에서 화재 예방 대책
- 품질 좋은 커패시터 사용 (온도등급 105℃ 이상, 저ESR)
- NTC 서미스터 또는 저항으로 돌입전류 제한
- 퓨즈·서지 흡수기(MOV) 추가
- 충분한 방열 설계 및 PCB 레이아웃 최적화
- 안전 규격 인증(UL, CE) 제품 사용
반응형
'NEC 법규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물, 빌딩의 공조기 팬(휀)을 PWM 제어로 어떻게 속도 제어하는가? (0) | 2025.07.27 |
---|---|
구형파(Square Wave) 방식으로 인버터를 제어하는 이유? 실무에서 사용하는 인버터 제어 방식? VFD, VSD, PWM제어방식? (0) | 2025.07.27 |
전력품질 분석기(PQ Analyzer)는 주로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나?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전기사고/고장 분석 사례/예시 (0) | 2025.07.26 |
전기사고, 고장 시 이를 실시간으로 측정, 분석을 하는지? 어떤 장비를 사용하는지? (0) | 2025.07.26 |
전기사고, 고장과 음상전류, 영상전류와의 관계, 전기사고, 고장 시 양상/음상/영상 으로 표현하는 이유? (0) | 2025.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