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NEC 법규/전동기8

캐패시터(Capacitor)는 어떤 부품(역할)일까? 캐패시터(Capacitor)는 어떻게 Q(무효전력)를 만들어 모터(전동기)에 공급해주나? “캐패시터가 어떻게 Q(무효전력)를 대신 만들어 주는지”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1️⃣ 모터가 원하는 전력모터는 두 가지 에너지가 필요해요:P (유효전력, 실제 일하는 힘) → 축을 돌리고 물건을 움직이는 데 쓰임Q (무효전력, 자석 만드는 힘) → 모터 안에서 자기장을 만들어주는 데 꼭 필요즉, 모터는 "밥(P)"도 먹고, "국(Q)"도 마셔야 움직일 수 있어요 🍚🍲2️⃣ 원래는 전원(발전소)에서 다 공급발전소나 변전소는 밥(P)과 국(Q)을 모두 보내줍니다.그런데 국(Q)을 멀리서 보내다 보니, **전선에 쓸데없는 부담(전류 증가, 손실)**이 커져요.3️⃣ 캐패시터의 특별한 역할캐패시터는 전기를 빨리 충전했다가 방전하는 성질이 있어요.이 과정에서 전류가 뒤로 갔다가 앞으로 가는 동작을 반복합니다... 2025. 8. 17.
유도전동기의 화재 원인, 절연저항 측정 방법, 잔류전하 방전 방법 공정용 유도전동기에서 발생하는 화재의 주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 분석한 통계를 보면 권선 절연 파괴가 가장 대표적 원인이긴 하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정리해 드릴게요. 🔥 공정용 유도전동기 화재 주요 원인1. 권선 절연 파괴 (가장 흔한 원인)모터 권선은 절연재(에나멜, 절연지, 바니시 등)로 보호되는데, 과전류·과열·습기·노후화로 인해 절연력이 떨어지면 단락(Short)이나 아크가 발생합니다. 이때 권선이 타거나 아크열로 절연이 탄화되면서 화재로 이어집니다.👉 실무에서 가장 흔히 보고되는 원인.2. 과부하·과전류 운전공정에서 부하가 순간적으로 커지거나 장시간 정격 이상 운전하면 권선 온도가 급격히 상승.냉각이 충분치 않으면 절연재가 빠르게 열화 → 권선 절.. 2025. 8. 16.
전기기기(변압기, 유도전동기)에서 자기포화(magnetic saturation)가 발생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현상, 화재 등 사고사례, 예방대책, 점검방법 코어가 쉽게 포화되면 전기기기(특히 변압기, 유도전동기)에서 여러 가지 부정적 영향이 생깁니다. 🔍 코어 포화 시 발생하는 현상자기 회로(코어)가 더 이상 자속을 흡수하지 못함자속(Φ)이 증가하지 않고, 대신 코어는 "벽"에 부딪힌 것처럼 포화됨.그 결과 전류는 계속 늘어나는데, 자속은 거의 증가하지 않음.무효전류(자화 전류) 급증보통 기기는 작은 무효전류만 필요하지만, 포화되면 큰 무효전류가 흐름.이는 전력 손실(열)과 전압 파형 왜곡을 일으킴.전압 파형의 왜곡 (고조파 발생)코어가 포화되면 자속-전류 관계가 비선형이 됨.이 때문에 **전압과 전류에 고조파(harmonics)**가 생겨 다른 기기에 간섭을 줌.코어 과열 & 절연 열화불필요하게 큰 전류가 코일을 흐르면서 권선 발열 증가.절연재가 열에 .. 2025. 8. 16.
Locked-Rotor Current(기동 전류)와 Y-Δ(와이-델타) 기동 방식 🔌 1. Locked-Rotor Current란?전동기(특히 유도 전동기)는 기동 시 회전자가 정지해 있어서,이때 코일에 흐르는 전류는 매우 큽니다. 이걸 Locked-Rotor Current라고 부르고,보통 정격 전류의 5~8배에 달합니다.예: 40A 전동기 → 기동 시 200~300A 흐를 수 있음 ⚠️⚙️ 2. 왜 문제가 되나요?기동 전류가 너무 크면…➤ 배선이 과열되거나➤ 전압 강하 발생➤ 전체 설비에 영향을 줄 수 있어요.🔀 3. Y-Δ 기동 방식의 원리✅ 일반적으로 3상 유도 전동기 권선은 삼각결선(Δ)으로 동작합니다.👉 하지만 기동 시에는 Y(별) 결선으로 시작해서,권선에 걸리는 전압이 1/√3배로 줄어들고,따라서 전류는 1/3 수준으로 줄어듭니다!⚡ 기동 전류 = Locked-Roto.. 2025. 7. 6.
모터(전동기, 모타, Motor)의 연속운전(Continuous Duty)의 의미(뜻) 🔹 연속운전(Continuous Duty)의 정의 (NEC 및 일반 해석)**“Continuous Duty”**란,장시간 동안 정격 부하 전류를 3시간 이상 지속해서 운전하는 조건을 말해요.(NEC에서는 Article 100, NEMA MG 1 등에서 간접적으로 정의되어 있어요.)🔹 예: 연속운전 모터펌프 모터, 팬(Fan), 송풍기, 냉각수 순환펌프 등은공장이나 설비에서 하루 종일 작동되기 때문에 "연속운전"이라고 간주돼요.→ 그래서 125% 전선 용량이 필요해요 (NEC 430.22).🔸 히터는 왜 보통 연속운전으로 안 보나요?히터도 계속 켜두면 연속 아니냐고 하셨는데,👉 **히터는 부하가 일정하지 않고, 온도제어(thermostat)**에 따라 꺼졌다 켜졌다 하죠?그래서 일반적으로 히터는 비.. 2025. 6. 29.
전선 허용 전류(Ampacity) 및 전동기 전류 계산 관련 규정(법령, 법규, 기준, 규칙, 법, 근거, CODE, 코드) 📌 NEC 규정⚡ NEC 430.6 - 전선 허용 전류(Ampacity) 및 전동기 전류 계산 기준 ⚡ 430.6 Ampacity and Motor Rating Determination. ✅ 📜 규정 개요전동기(모터)를 공급하는 전선 크기는 NEC 전선 허용 전류 표를 따라야 하며, 경우에 따라 계산이 필요할 수 있음. The size of conductors supplying equipment covered by Article 430 shall be selected from the allowable ampacity tables in accordance with 310.15(B) or shall be calculated in accordance with 310.15(C).  📌 전선 크기 결정 방법.. 2025. 3.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