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3

역률(파워펙터, Power Factor)을 개선해야하는 이유? 역률과 전압강하 관계? 역률이 전기설비에 미치는 영향? ⚡ 1. 역률 개선 (Power Factor Correction)배경:부하에는 R(저항)뿐 아니라 X(리액턴스, 주로 유도성)가 섞여 있어서 전류가 전압보다 늦게 흐릅니다 → 역률이 나빠지고, 같은 전력을 공급하려도 전류가 더 많이 흘러 손실(전압강하, 발열)이 커집니다. 대책:부하 옆에 캐패시터(용량성 리액턴스, -jXc)를 설치하여 유도성 리액턴스를 상쇄합니다. 실무 예시:대형 공장(모터 설비 다수) → 콘덴서 뱅크 설치빌딩, 플랜트 → 자동 역률 보상 장치(APFC, Auto Power Factor Controller)⚡ 2. 전압강하 설계 고려배경:배선의 R, X 성분에 따라 전압강하가 생기는데, 이는 부하 역률에 따라 달라집니다. 활용:전기 설비 설계 시, 부하 전류·거리·역률을 고려해 케이블 .. 2025. 9. 6.
발전기(동기기)의 정상상태, 과도상태, 차과도상태, 리액턴스, 동기리액턴스에 대한 설명 ⚡ 1. 동기 리액턴스 (Synchronous Reactance, Xd)정의: 발전기가 정상적으로 운전할 때 보이는 리액턴스시간 구간: 고장 발생 후 수 초 이상, 정상상태에서 유효의미: 발전기가 부하를 계속 공급할 때 내부 전압과 전류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값쉽게 설명: 발전기가 안정된 평상시 상태에서 전류를 제한하는 저항 같은 역할⚡ 2. 과도 리액턴스 (Transient Reactance, X′d​)정의: 고장 발생 직후 수백 ms ~ 수초 동안, 내부 여자(자속)가 아직 변하지 않고 남아 있을 때 보이는 리액턴스시간 구간: 고장 직후 0.1초 ~ 수 초 이내의미: 과도 안정도 해석에 사용. 발전기가 사고 후 계통과 동기를 유지할 수 있는지 계산할 때 중요쉽게 설명: 고장 후 잠깐 흔들리는 상태에.. 2025. 8. 30.
지락은 뭘 뜻하는 걸까? 의미는? Ground-Fault Protection (지락 보호)? 지락과 누전의 차이는? ⚡ 1. Ground Fault(지락)이란?전기가 원래 가야 할 길(배선, 부하)을 가지 않고, 대지를 통해 흘러버리는 사고예요. 예: 전선 피복이 벗겨져 철제 케이스에 닿거나, 습기로 절연이 망가져서 전류가 땅으로 흐르는 경우. 위험: 감전, 화재, 설비 손상⚡ 2. Ground-Fault Protection(지락 보호)의 개념지락이 발생했을 때 전류를 빨리 감지하고 차단해서, 사람과 설비를 보호하는 시스템이에요.핵심은 **“대지로 새는 전류를 얼마나 빨리, 정확히 감지하느냐”**입니다.⚡ 3. 어떻게 보호하나?GFCI (Ground-Fault Circuit Interrupter, 누전차단기)보통 30 mA 이하 누설전류가 흐르면 0.03초 이내에 차단주로 사람 감전 보호용Ground-Fault Rel.. 2025. 8. 30.
접지저항기(Neutral Grounding Resistor, NGR) ⚡ 1. 접지저항기(Neutral Grounding Resistor, NGR)가 많이 쓰이는 장소대형 변압기(고압·특고압 변전설비)변압기 중성점(N)을 직접 접지하면 지락 시 전류가 너무 커져 설비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중성점에 접지저항기를 넣어 전류를 제한합니다. 발전소, 변전소, 대형 공장 등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대형 유도전동기(수백 kW~MW급)이런 모터는 지락 사고 시 전류가 매우 커서, 모터 권선이나 케이블 손상이 발생할 수 있어요.그래서 모터 전용 변압기 중성점이나 전동기 회로에 저항접지 방식을 적용합니다.산업 현장 (철강, 화학, 반도체, 플랜트 등)공정이 멈추면 큰 손실이 생기기 때문에, 지락 시 바로 정전되는 직접접지 대신 저항접지를 사용해 전류를 제한하고 설비를 보호합니다.⚡ 2.. 2025. 8. 30.
단락전류를 구해야 하는 이유? 차단기(VCB, ACB, GCB) 의 정격차단용량? 범위? MCCB(배선용차단기)의 기능? 왜 단락전류를 구해야 할까?단락전류는 실제 사고 때 흐를 수 있는 최대 전류예요.이 값은 차단기·계전기·변압기·케이블 설계를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차단기: 정격 차단용량이 단락전류보다 커야 함.보호계전기: 트립 세팅을 단락전류에 맞춰야 함.케이블/버스덕트: 단락전류로 발생하는 열·기계적 스트레스에 견뎌야 함.⚡ 1. 차단기의 역할차단기는 **고장 전류(단락전류)**가 흐를 때 회로를 끊어주는 장치예요.그런데 단락전류는 순간적으로 수천~수만 암페어까지도 올라갑니다.차단기는 이 큰 전류를 **물리적으로 끊어낼 수 있는 힘(내구성)**을 가지고 있어야 해요.⚡ 2. 정격 차단용량이란?차단기가 안전하게 끊어낼 수 있는 최대 단락전류를 말합니다.예) 차단기 정격 차단용량이 10 kA라면, 최대 10,000.. 2025. 8. 23.
역률(Power Factor)이 최근 잘 나오는(좋아지고 있는) 이유는? VFD, SMPS 설치의 이유? 전력회사의 전기요금 부과와의 관계? 요즘 역률이 좋아지는 이유 (실무 관점에서 쉽게 풀이) 1. VFD(가변주파수 드라이브)의 보편화과거에는 단순히 모터를 전원에 직접 연결했지만, 요즘은 VFD를 사용하는 설비가 많아요. VFD는 유효전력만 전달하고, 무효전력(Q)은 자체적으로 커버해 주는 구조라, 역률이 자연스럽게 좋아집니다.⚡ 1. 전통적인 모터 구동유도전동기를 그냥 전원에 직접 연결하면, 모터는 **자기장(자속)**을 만들기 위해 무효전력 Q를 항상 끌어옵니다.그래서 전원에서 유효전력 P(일하는 힘) + 무효전력 Q(자기장 만드는 힘) 둘 다 공급해야 하고, 전류가 커져서 역률이 낮아집니다.⚡ 2. VFD가 들어오면?VFD는 **전력 전자 장치(IGBT 같은 스위칭 소자)**로 이루어져 있는데, 내부 동작은 이렇게 돼요:AC → DC.. 2025. 8.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