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5 퓨즈(Fuse)가 과부하 보호는 왜 적합하지 않을까? 단락과 지락 사고에서 적합한 이유?(과부하, 단락, 지락 비교) 🔸 과부하 vs 단락의 차이 구분 설명 예시 과부하정상이긴 하지만 장시간 정격 이상 전류가 흐름모터에 계속 무거운 부하가 걸림단락선끼리 직접 닿아 매우 큰 전류가 순간적으로 흐름L상과 N상이 쇼트됨지락도체가 접지된 금속 케이스 등으로 누전됨누전으로 인해 인체 감전 등 위험 🔸 퓨즈는 정격보다 훨씬 큰 전류에서 빠르게 동작함퓨즈는 “일정 전류 이상이 갑자기 흐를 때” 빠르게 끊어짐즉, 단락이나 지락처럼 급격한 고전류에는 잘 반응하지만 과부하처럼 느리고 .. 2025. 7. 6. 전동기(모터) 과부하 시 보호할 수 있는 장치(서멀 릴레이(열동계전기), 전자식 보호 계전기) 🔹 1. 서멀 릴레이 (Thermal Overload Relay)✅ 개요전류가 흐르면 **히터(저항체)**가 가열됨열이 **양팽창 바이메탈(bimetal)**을 변형시켜 접점을 개방 → 모터 정지과부하 상태에서 느리게 동작✅ 구성과 작동 원리히터 코일: 전류가 흐르면 발열바이메탈: 두 금속의 팽창률 차이로 구부러짐접점 개방: 바이메탈이 움직이면 접점이 떨어져 모터 정지✅ 특징단순, 저렴, 보편적정확도 낮음 (온도, 주위 환경에 민감)동작 지연 시간 있음단락 보호 불가 → 퓨즈나 차단기와 함께 사용✅ 주로 사용하는 곳소형 또는 일반 산업용 모터MCC(Motor Control Center)의 모터 스타터 회로 등🔹 2. 전자식 보호 계전기 (Electronic Motor Protection Relay)✅.. 2025. 7. 6. Locked-Rotor Current(기동 전류)와 Y-Δ(와이-델타) 기동 방식 🔌 1. Locked-Rotor Current란?전동기(특히 유도 전동기)는 기동 시 회전자가 정지해 있어서,이때 코일에 흐르는 전류는 매우 큽니다. 이걸 Locked-Rotor Current라고 부르고,보통 정격 전류의 5~8배에 달합니다.예: 40A 전동기 → 기동 시 200~300A 흐를 수 있음 ⚠️⚙️ 2. 왜 문제가 되나요?기동 전류가 너무 크면…➤ 배선이 과열되거나➤ 전압 강하 발생➤ 전체 설비에 영향을 줄 수 있어요.🔀 3. Y-Δ 기동 방식의 원리✅ 일반적으로 3상 유도 전동기 권선은 삼각결선(Δ)으로 동작합니다.👉 하지만 기동 시에는 Y(별) 결선으로 시작해서,권선에 걸리는 전압이 1/√3배로 줄어들고,따라서 전류는 1/3 수준으로 줄어듭니다!⚡ 기동 전류 = Locked-Roto.. 2025. 7. 6. 모터(전동기, 모타, Motor)의 연속운전(Continuous Duty)의 의미(뜻) 🔹 연속운전(Continuous Duty)의 정의 (NEC 및 일반 해석)**“Continuous Duty”**란,장시간 동안 정격 부하 전류를 3시간 이상 지속해서 운전하는 조건을 말해요.(NEC에서는 Article 100, NEMA MG 1 등에서 간접적으로 정의되어 있어요.)🔹 예: 연속운전 모터펌프 모터, 팬(Fan), 송풍기, 냉각수 순환펌프 등은공장이나 설비에서 하루 종일 작동되기 때문에 "연속운전"이라고 간주돼요.→ 그래서 125% 전선 용량이 필요해요 (NEC 430.22).🔸 히터는 왜 보통 연속운전으로 안 보나요?히터도 계속 켜두면 연속 아니냐고 하셨는데,👉 **히터는 부하가 일정하지 않고, 온도제어(thermostat)**에 따라 꺼졌다 켜졌다 하죠?그래서 일반적으로 히터는 비.. 2025. 6. 29. 변압기 낙뢰 보호를 위한 서지 어레스터(Surge Arrester)의 최적 위치 🔸 왜 낙뢰는 주로 고압선(예: 12kV) 쪽에서 발생할까?낙뢰가 고압선에 더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단순히 "전압이 높아서"가 아니라, 다음과 같은 물리적·전기적 특성 때문입니다:✅ 1. 높은 위치에 설치됨 (가장 중요한 이유)고압 송전선(예: 12kV, 22.9kV, 154kV)은 높은 전봇대나 철탑에 설치되어 있음높을수록 낙뢰를 먼저 맞을 확률이 큼 (낙뢰는 가장 가까운 도체로 떨어지려 함)🔹 예시:저압선은 건물 2~3층 높이고압선은 고층 건물보다 높은 철탑 위 → 당연히 고압선이 낙뢰에 더 노출됨✅ 2. 접지 전위와 큰 전위차낙뢰는 구름과 지면 사이의 전위차 때문에 발생하는데,고압선은 이미 전위가 수천 볼트 이상이므로,→ 낙뢰 전류가 "도체를 통해 지면으로 흘러가기 쉬움"즉, 낙뢰의 경로가 되기.. 2025. 6. 29. CT를 이용한 델타-와이 변압기 차동 계전기 보호 회로(Differential Relay Protection of a Delta-Wye Transformer using CTs) 🔸1. 비율 차동 계전기란?비율 차동 계전기는 변압기나 발전기처럼 대형 전기 설비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계전기입니다.특히, **내부 고장(fault)**을 탐지하기 위해 입력과 출력 전류의 차이를 감시합니다. 🔸2. 기본 개념: “차동 보호”란?✅ 원리:보호하려는 설비(예: 변압기)의 입력 전류와 출력 전류를 각각 CT로 측정합니다.정상상태에서는 입력 전류와 출력 전류가 거의 동일합니다.고장이 내부에 발생하면, 입력과 출력 전류 사이에 **차이(차동전류)**가 생깁니다.이 차이를 감지해 차동 계전기가 동작 → 차단기 트립합니다. 🔸3. 구성도 🔸4. 왜 “비율” 차동이라고 부르나요? 전류차가 작을 때는 무시하고, 일정 비율 이상일 때만 트립하게끔 설정합니다.📌 비율 = 차동전류 / 평균전.. 2025. 6. 26. 이전 1 2 3 4 5 6 ··· 1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