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EC 법규69 캐패시터(Capacitor)는 어떤 부품(역할)일까? 캐패시터(Capacitor)는 어떻게 Q(무효전력)를 만들어 모터(전동기)에 공급해주나? “캐패시터가 어떻게 Q(무효전력)를 대신 만들어 주는지”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1️⃣ 모터가 원하는 전력모터는 두 가지 에너지가 필요해요:P (유효전력, 실제 일하는 힘) → 축을 돌리고 물건을 움직이는 데 쓰임Q (무효전력, 자석 만드는 힘) → 모터 안에서 자기장을 만들어주는 데 꼭 필요즉, 모터는 "밥(P)"도 먹고, "국(Q)"도 마셔야 움직일 수 있어요 🍚🍲2️⃣ 원래는 전원(발전소)에서 다 공급발전소나 변전소는 밥(P)과 국(Q)을 모두 보내줍니다.그런데 국(Q)을 멀리서 보내다 보니, **전선에 쓸데없는 부담(전류 증가, 손실)**이 커져요.3️⃣ 캐패시터의 특별한 역할캐패시터는 전기를 빨리 충전했다가 방전하는 성질이 있어요.이 과정에서 전류가 뒤로 갔다가 앞으로 가는 동작을 반복합니다... 2025. 8. 17. 유도전동기의 화재 원인, 절연저항 측정 방법, 잔류전하 방전 방법 공정용 유도전동기에서 발생하는 화재의 주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 분석한 통계를 보면 권선 절연 파괴가 가장 대표적 원인이긴 하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정리해 드릴게요. 🔥 공정용 유도전동기 화재 주요 원인1. 권선 절연 파괴 (가장 흔한 원인)모터 권선은 절연재(에나멜, 절연지, 바니시 등)로 보호되는데, 과전류·과열·습기·노후화로 인해 절연력이 떨어지면 단락(Short)이나 아크가 발생합니다. 이때 권선이 타거나 아크열로 절연이 탄화되면서 화재로 이어집니다.👉 실무에서 가장 흔히 보고되는 원인.2. 과부하·과전류 운전공정에서 부하가 순간적으로 커지거나 장시간 정격 이상 운전하면 권선 온도가 급격히 상승.냉각이 충분치 않으면 절연재가 빠르게 열화 → 권선 절.. 2025. 8. 16. 전기기기(변압기, 유도전동기)에서 자기포화(magnetic saturation)가 발생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현상, 화재 등 사고사례, 예방대책, 점검방법 코어가 쉽게 포화되면 전기기기(특히 변압기, 유도전동기)에서 여러 가지 부정적 영향이 생깁니다. 🔍 코어 포화 시 발생하는 현상자기 회로(코어)가 더 이상 자속을 흡수하지 못함자속(Φ)이 증가하지 않고, 대신 코어는 "벽"에 부딪힌 것처럼 포화됨.그 결과 전류는 계속 늘어나는데, 자속은 거의 증가하지 않음.무효전류(자화 전류) 급증보통 기기는 작은 무효전류만 필요하지만, 포화되면 큰 무효전류가 흐름.이는 전력 손실(열)과 전압 파형 왜곡을 일으킴.전압 파형의 왜곡 (고조파 발생)코어가 포화되면 자속-전류 관계가 비선형이 됨.이 때문에 **전압과 전류에 고조파(harmonics)**가 생겨 다른 기기에 간섭을 줌.코어 과열 & 절연 열화불필요하게 큰 전류가 코일을 흐르면서 권선 발열 증가.절연재가 열에 .. 2025. 8. 16. 변압기를 병렬(parallel)로 연결할 수 있는 경우, 병렬운전이 가능한 조건 변압기를 병렬(parallel)로 연결할 수 있는 경우는 몇 가지 조건이 딱 맞아야 해요.✅ 병렬운전이 가능한 조건같은 권선 결선 방식예: 두 변압기 모두 Y-Y 또는 모두 Δ-Δ여야 해요.(Y-Δ 와 Y-Y처럼 서로 다른 결선이면 30° 위상차가 생겨서 ❌)전압비(턴비, Turns ratio)가 같아야 함1차 전압과 2차 전압의 비율이 같지 않으면 한쪽이 더 높은 전압을 보내서,다른 쪽 변압기와 전류가 엇갈려 흘러요.극성(Polarity)이 같아야 함변압기의 “+”와 “–” 방향이 같아야지, 반대로 연결되면 바로 쇼트(단락)나버려요 ⚡.임피던스(%)가 같거나 비슷해야 함%Z가 다르면 부하가 고르게 나눠지지 않고, 한쪽이 과부하 걸려요.용량(kVA) 비율이 맞아야 함너무 큰 차이가 나면 작은 쪽이 빨리 .. 2025. 8. 16. 조도(fc, 푸드캔들,foot-candle), 너비, 길이, 넓이, 이용률(CU), 루멘(lm)과의 관계 📊 1. 단위 관계 표 단위 기호 정의 관계식 비고 루멘lm빛의 총량(광속)-광원의 ‘빛의 양’을 나타냄푸트-캔들(조도)fc1 ft² 면적에 도달하는 루멘의 양1 fc = 1 lm / 1 ft²미국, 영국 등에서 사용럭스lx1 m² 면적에 도달하는 루멘의 양1 lx = 1 lm / 1 m²국제 표준(SI) 단위변환 관계-fc ↔ lx 변환1 fc ≈ 10.764 lx1 m² ≈ 10.764 ft² 이용률(Coefficient of Utilization, CU) 은 조명 .. 2025. 8. 15. 자동방화셔터의 부품 중 하나인 유도 전동기(모터)는 자꾸 자주 고장이 날까?(Feat. 유도 전동기(모터)의 권선의 절연 코팅 파괴, 절연열화, 타거나 연기나는 현상, 소음 등 이상징후) 자동방화셔터 모터의 잦은 고장은 토크 특성과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특히 방화셔터는 평상시에는 가만히 있다가 비상 시나 시험 운전 때 순간적으로 큰 토크가 필요한 구조라서, 모터에 부하가 많이 걸립니다. 🔍 왜 토크가 고장과 관련 있는가기동 토크가 매우 큼셔터를 처음 움직일 때는 관성(무게)과 마찰을 극복해야 하므로 정격 운전 시보다 훨씬 큰 토크가 필요합니다.기동 시 전류가 정격의 5~7배까지 증가하면서 권선 발열이 심해집니다.정지-기동 반복방화셔터는 매일 지속적으로 돌지 않고, 가동할 때마다 정지 → 급기동 패턴이 반복됩니다.이때 큰 토크와 전류가 반복적으로 가해져 모터 절연 열화가 빨라집니다.🔌 토크·전류와 모터 절연의 관계모터 내부에는 **권선(구리선)**이 감겨 있고, 그 위에는 **절.. 2025. 8. 10. 이전 1 2 3 4 ··· 1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