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1. 동기 리액턴스 (Synchronous Reactance, Xd)
- 정의: 발전기가 정상적으로 운전할 때 보이는 리액턴스
- 시간 구간: 고장 발생 후 수 초 이상, 정상상태에서 유효
- 의미: 발전기가 부하를 계속 공급할 때 내부 전압과 전류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값
- 쉽게 설명: 발전기가 안정된 평상시 상태에서 전류를 제한하는 저항 같은 역할
⚡ 2. 과도 리액턴스 (Transient Reactance, X′d)
- 정의: 고장 발생 직후 수백 ms ~ 수초 동안, 내부 여자(자속)가 아직 변하지 않고 남아 있을 때 보이는 리액턴스
- 시간 구간: 고장 직후 0.1초 ~ 수 초 이내
- 의미: 과도 안정도 해석에 사용. 발전기가 사고 후 계통과 동기를 유지할 수 있는지 계산할 때 중요
- 쉽게 설명: 고장 후 잠깐 흔들리는 상태에서 발전기의 “임시 전기 저항값”
⚡ 3. 차과도 리액턴스 (Subtransient Reactance, X″d)
- 정의: 고장 발생 순간, 고정자·회전자 권선 속에 유기되는 여러 와전류 효과까지 포함된 매우 낮은 리액턴스
- 시간 구간: 고장 직후 수 cycle (약 0.05 ~ 0.1초 이내)
- 의미: 최대 단락전류를 계산할 때 사용 (보호계전기, 차단기 정격 산정)
- 쉽게 설명: 고장 났을 때 “순간적으로 전류가 폭발적으로 커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값
🎯 종합 정리 (시간 축 기준)
- 0 ~ 0.1초: X″d (차과도 리액턴스, 단락전류 계산)
- 0.1초 ~ 수 초: X′d (과도 리액턴스, 안정도 해석)
- 수 초 이후: Xd (동기 리액턴스, 정상상태 해석)
👉 쉽게 말하면,
- X″d → 순간 사고 직후, 전류가 엄청 큼
- X′d → 조금 지나서 안정되려는 중간 단계
- Xd → 시간이 충분히 지나 정상 상태
(수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