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방화셔터 모터의 잦은 고장은 토크 특성과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특히 방화셔터는 평상시에는 가만히 있다가 비상 시나 시험 운전 때 순간적으로 큰 토크가 필요한 구조라서, 모터에 부하가 많이 걸립니다.
🔍 왜 토크가 고장과 관련 있는가
- 기동 토크가 매우 큼
- 셔터를 처음 움직일 때는 관성(무게)과 마찰을 극복해야 하므로 정격 운전 시보다 훨씬 큰 토크가 필요합니다.
- 기동 시 전류가 정격의 5~7배까지 증가하면서 권선 발열이 심해집니다.
- 정지-기동 반복
- 방화셔터는 매일 지속적으로 돌지 않고, 가동할 때마다 정지 → 급기동 패턴이 반복됩니다.
- 이때 큰 토크와 전류가 반복적으로 가해져 모터 절연 열화가 빨라집니다.
🔌 토크·전류와 모터 절연의 관계모터 내부에는 **권선(구리선)**이 감겨 있고, 그 위에는 **절연 코팅(에나멜)**이 있어요.이 절연이 전기적으로는 누전 방지, 물리적으로는 구리선 보호 역할을 합니다. 1. 큰 토크 → 큰 전류
2. 반복적 과열 → 절연 수명 단축
3. 절연 손상 → 고장
모터 절연은 사람 피부랑 비슷해요. 큰 토크·큰 전류는 피부를 반복적으로 데우는 뜨거운 불판 같은 거예요. 한두 번은 괜찮지만, 자주 반복하면 피부가 갈라지고 결국 화상 입듯이 모터 절연이 손상됩니다. 산업 현장이나 건물 기계실처럼 부하가 무겁고, 환기가 부족하며, 모터가 자주 기동하는 환경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 모터 절연 손상 → 화재로 이어지는 과정
📌 실제 사례에서 많이 발견되는 원인
모터 절연 화재는 한 번 시작되면 진화가 어렵고, 원인 추적이 복잡합니다. 그래서 실무에서는 절연저항 측정, 열화 예측, 모터 온도 모니터링을 필수로 하고, 특히 방화셔터 모터처럼 비상 시 큰 부하를 받는 장치는 예방 정비 주기를 짧게 잡습니다. |
- 과부하 상태에서의 운전
- 셔터의 레일에 먼지, 녹, 변형이 있으면 마찰이 증가해 모터 토크 요구량이 더 커짐.
- 요구 토크가 모터 정격 토크보다 크면 장시간 사용 시 권선, 베어링, 기어가 손상됩니다.
- 기계적 충격
- 토크가 크면 모터가 전달하는 기계적 충격이 기어, 체인, 커플링 등에 전해져
→ 베어링 손상, 축 틀어짐 등 기계 부품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
- 토크가 크면 모터가 전달하는 기계적 충격이 기어, 체인, 커플링 등에 전해져
💡 실무 개선 방안
- 소프트스타터나 인버터 제어로 기동 토크를 부드럽게 조절
- 셔터의 윤활 상태 및 가이드 레일 청소 정기 점검
- 모터를 정격보다 여유 있는 토크 용량으로 교체
- 기동 횟수와 시간을 줄여 모터 발열 누적 방지
반응형
'NEC 법규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GMD (Geometric mean distance =기하평균거리) 가 쓰이는 주요 분야 (0) | 2025.08.10 |
---|---|
전제어 사이리스터(싸이리스터, SCR) 브리지(브릿지) 정류기(정류회로)(Full-controlled Thyristor Bridge) (0) | 2025.08.09 |
건물, 빌딩의 공조기 팬(휀)을 PWM 제어로 어떻게 속도 제어하는가? (0) | 2025.07.27 |
구형파(Square Wave) 방식으로 인버터를 제어하는 이유? 실무에서 사용하는 인버터 제어 방식? VFD, VSD, PWM제어방식? (0) | 2025.07.27 |
전파정류기(full-wave rectifier) + 평활 커패시터(filter capacitor) 회로에 대하여? 화재 발생 이유? (0) | 2025.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