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1. 실제로 이런 성분(양상, 음상, 0상 전류, 전압)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나?
그렇습니다. 실시간으로 측정합니다.
다음과 같은 장비들이 사용됩니다:
- 디지털 보호계전기 (Digital Protective Relay)
- 파형기록장치 (Digital Fault Recorder, DFR)
- 고장기록계 (Fault Recorder)
- 전력품질 분석기 (PQ Analyzer)
이 장비들은 사고가 발생하면 다음을 자동으로 기록합니다:
- 세상(3상)의 전류·전압 파형
- 대칭 성분 (I⁺, I⁻, I⁰)
- 고장 시간, 지속 시간, 고장 전·후 상태
- 주파수, 전압 불균형 등
✅ 2. 이런 분석은 어느 업종/장소에서 주로 하나요?
📍 고장 분석이 중요한 주요 분야:
업종/장소 이유
🏭 산업 플랜트 (반도체, 철강, 화학 등) | 순간 정전이나 고장이 수백억 원 손실 유발 |
🏢 데이터센터 | 고장 시 서버 중단 → SLA 위반, 치명적 피해 |
🚉 전력회사 (한전, 발전소, 송변전소) | 대규모 정전 방지, 고장 위치 추정 |
🏥 병원 등 중요 설비 | 전기적 장애가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음 |
🚗 전기차 충전 인프라, ESS | 불균형 전류가 배터리나 인버터 고장을 유발 |
✅ 3. 고장 이후에도 분석을 하나요?
그렇습니다. 사고 이후 "사후 분석"은 매우 중요합니다.
주로 확인하는 것:
- 고장 전류는 몇 배였는가?
- 고장 당시 0상 전류는 존재했는가? (지락 여부)
- 고장의 시작과 끝 시점은 언제인가?
- 보호계전기는 정상 동작했는가?
- 반복된 고장 패턴은 없는가?
📁 이 분석은 **“사고 조사 보고서”**로 작성되며,
향후 재발 방지 대책이나 설계 개선의 근거가 됩니다.
🧠 요약 정리
질문 답변
실시간 측정하나? | ✅ 예, 디지털 보호계전기, 파형기록기로 실시간 측정함 |
주로 어디서? | 🏭 산업 플랜트, ⚡ 발전소, 🏥 병원, 🖥️ 데이터센터 등 |
사고 이후에도 분석하나? | ✅ 예, 고장 원인 파악과 재발 방지를 위해 필수 분석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