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NEC 법규/기타28

LED조명에서 왜 고조파가 많이 나올까? ✅ 결론부터 말하면:LED 조명은 안에 "스위칭 전원회로(정류기, 컨버터)"가 들어 있어서 고조파 전류를 만들어냅니다.🔧 1. LED 조명 구조 먼저 이해해볼게요LED는 단순히 "전구"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이렇게 생겼어요: 즉, LED는 직류(DC) 전원으로 동작하는 장치입니다.그런데 우리 집 전원은 교류(AC) 전기이니까,→ 중간에 **AC를 DC로 바꿔주는 회로(정류기)**가 꼭 필요해요.⚡ 2. 이 정류기/컨버터가 고조파의 원흉!이 정류기 회로는 어떻게 동작하냐면요:AC 전압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될 때만 짧은 시간에 전류를 흡수해요.이 전류가 아주 짧고 뾰족한 파형(≠ 정현파)입니다.이런 파형은 고조파 성분이 매우 많아요!📉 정현파가 아니라 찌그러진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고조파 전류가 전.. 2025. 7. 20.
고조파 부하가 많을 경우!! 왜 3배수 고조파가 중성선에 중첩되어 흐르며 과전류를 유발할까? 이 부분은 전기실 설계, UPS/서버실, 건물 배선 시 고조파 대응에서 아주 중요한 내용임. ✅ 요점 요약 먼저3배수 고조파(3차, 9차, 15차…)는 A, B, C 상 모두 같은 위상이기 때문에서로 상쇄되지 않고, 오히려 중성선에 중첩되어 흐름그래서 중성선이 과전류를 흘리게 되고, 과열이나 화재 위험 발생🔹 상황을 하나 설정해볼게요예를 들어 사무실에 전자제품이 많아요:컴퓨터, 프린터, 모니터, LED 조명, 복합기 등👉 이런 기기들은 전부 비선형 부하 (Non-linear load)👉 내부에 정류기, 인버터가 있어서 전류를 찌그러뜨려요👉 즉, 고조파 전류를 발생시켜요🔸 그런데 왜 하필 중성선이 위험해지냐?🔁 일반적인 3상 균형 부하의 경우:A상 전류 + B상 전류 + C상 전류 = 0→ 그래.. 2025. 7. 20.
부하 불평형(불균형)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트러블, 화재, 누전, 과열, 발열) 🔹 현실에서 A,B,C상 중 C상 부하가 없거나 적은 경우가 있을까? ✅ 1. 한쪽 상만 사용하는 부하 (단상 부하)의 집중공장이나 빌딩에서 단상 220V 기기들이 특정 상에만 많이 연결된 경우.예: A상과 B상은 에어컨, 조명 등 부하가 많은데 C상은 거의 없음.이러면 상전류가 불균형 → 중성선에 불필요한 전류가 흐르게 됨 → 케이블 과열 우려 ✅ 2. C상 케이블 단선, 접촉불량, 차단기 트립 등C상 케이블이 끊어지거나, 접촉불량이거나, 차단기나 퓨즈가 끊어진 경우.부하가 살아있어도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며, 시스템이 불균형 상태가 됩니다.🔹 중성선에 전류가 흐르면 어떤 문제가 생기나?Y결선 시스템에서 3상이 균형 잡혀 있으면 중성선 전류는 0입니다. 하지만 불균형이 발생하면? → 중성선에 전류가.. 2025. 7. 20.
변압기 낙뢰 보호를 위한 서지 어레스터(Surge Arrester)의 최적 위치 🔸 왜 낙뢰는 주로 고압선(예: 12kV) 쪽에서 발생할까?낙뢰가 고압선에 더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단순히 "전압이 높아서"가 아니라, 다음과 같은 물리적·전기적 특성 때문입니다:✅ 1. 높은 위치에 설치됨 (가장 중요한 이유)고압 송전선(예: 12kV, 22.9kV, 154kV)은 높은 전봇대나 철탑에 설치되어 있음높을수록 낙뢰를 먼저 맞을 확률이 큼 (낙뢰는 가장 가까운 도체로 떨어지려 함)🔹 예시:저압선은 건물 2~3층 높이고압선은 고층 건물보다 높은 철탑 위 → 당연히 고압선이 낙뢰에 더 노출됨✅ 2. 접지 전위와 큰 전위차낙뢰는 구름과 지면 사이의 전위차 때문에 발생하는데,고압선은 이미 전위가 수천 볼트 이상이므로,→ 낙뢰 전류가 "도체를 통해 지면으로 흘러가기 쉬움"즉, 낙뢰의 경로가 되기.. 2025. 6. 29.
SCADA시스템, 트랜스듀서(Transducer), 화재 발생에 대한 정리 ✅ SCADA 시스템이란?SCADA =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감시 제어 및 데이터 수집 시스템🔧 무엇을 하나요?공장, 발전소, 변전소, 상수도, 빌딩 등 넓은 지역에 있는 장비들을 원격에서 감시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입니다.센서, 계측기, 모터, 밸브 등을 모니터링하고 조작할 수 있습니다.🔌 예시발전소에서 변압기의 전압과 전류를 감시하고, 이상 신호가 있으면 경고를 띄움정수장에서 펌프를 원격으로 켜고 끄는 작업✅ 트랜스듀서(Transducer)란?👉 물리적인 값을 전기 신호로 바꿔주는 장치예를 들어: 측정 대상 트랜스듀서의 기능 .. 2025. 6. 25.
208Y/120V, 단상의 의미 😊 “208Y/120V, 단상”이라는 문구를 보고 **"단상 3선식(single-phase 3-wire)"**이라는 구성을 유추하는 과정🔎 1. “208Y/120V”는 뭘 뜻하는가?**“Y”**는 **Y 결선 (wye connection)**을 뜻해요.👉 즉, 3상 4선식 시스템에서 중심점(N)을 가진 구성이라는 걸 알려줘요.208V는 상간 전압(line-to-line voltage)120V는 상-중성선 전압(line-to-neutral voltage)따라서,208Y/120V는 =3상 4선식 시스템이며,각 상에서 중성선까지는 120V,상-상 사이 전압은 208V인 시스템입니다.🔎 2. 그런데 왜 '단상'이라고 했을까?문제에서:“208Y/120V, 1-phase, 100 amp subpanel”이렇.. 2025. 6.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