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NEC/차단기

Class I, Division 2 지역에서 차단기 및 스위치 설치(Circuit Breaker and Switch Installation Requirements in Class I, Division 2 Areas), NEC 위험 지역 분류(구분) 관련 규정(법령, 법규, 기준, 규칙, 법, 근거, CODE, 코드)

by NEC MASTER 2025. 3. 22.
반응형

 

🔹 NEC

 

ARTICLE 501 — CLASS I LOCATIONS

 

501.115 Switches, Circuit Breakers, Motor Controllers, and Fuses.

 

(B) Class I, Division 2. Switches, circuit breakers, motor controllers, and fuses in Class I, Division 2 locations shall comply with 501.115(B)(1) through (B)(4).

 

🔹 Class I, Division 2 위치에서 스위치, 차단기, 모터 컨트롤러, 퓨즈의 규정 (NEC 501.115(B))

 

(B) Class I, Division 2
Class I, Division 2 지역에 설치되는 스위치, 차단기, 모터 컨트롤러, 퓨즈 501.115(B)(1) ~ (B)(4) 규정을 따라야 함.


(1) Type Required.

 

Circuit breakers, motor controllers, and switches intended to interrupt current in the normal performance of the function for which they are installed shall be provided with enclosures identified for Class I, Division 1 locations in accordance with 501.105(A),

 

🔹 (1) 필수 유형 (Type Required)

 

Class I, Division 2 지역에서 전류를 차단하는 차단기, 모터 컨트롤러, 스위치는 기본적으로 Class I, Division 1에 적합한 외함(Enclosure)을 사용해야 함.

 

unless general-purpose enclosures are provided and any of the following apply:

 

하지만 일반용 외함(General-Purpose Enclosure)을 사용할 수도 있음, 단 다음 조건 중 하나를 충족해야 함.

 

(1) The interruption of current occurs within a chamber hermetically sealed against the entrance of gases and vapors.

 

1️⃣ 전류 차단이 완전 밀폐된 챔버(Hermetically Sealed Chamber)에서 이루어져야 함  외부 가스나 증기가 들어올 수 없어야 함.

 

 

(2) The current make-and-break contacts are oil-immersed and of the general-purpose type having a 50-mm (2-in.) minimum immersion for power contacts and a 25-mm (1in.) minimum immersion for control contacts.

 

2️⃣ 전류 접점 오일에 잠겨 있어야 함

  • 전력 접점 최소 50mm(2인치) 깊이,
  • 제어 접점 최소 25mm(1인치) 깊이 이상 오일에 잠겨 있어야 함.

 

(3) The interruption of current occurs within an enclosure, identified for the location, and marked “Leads Factory Sealed”, or “Factory Sealed”, or “Seal not Required”, or equivalent.

 

3️⃣ 차단이 이루어지는 외함(Enclosure)에 "Leads Factory Sealed", "Factory Sealed", "Seal not Required" 또는 동등한 문구가 표시되어 있어야 함.

 

 

(4) The device is a solid state, switching control without contacts, where the surface temperature does not exceed 80 percent of the autoignition temperature in degrees Celsius of the gas or vapor involved.

 

4️⃣ 리드 스테이트 방식(Solid-State)으로 접점이 없어야 하며, 표면 온도가 해당 가스/증기의 자동 발화 온도의 80%를 초과하지 않아야 함.

 

 

 솔리드 스테이트(Solid-State)란?

솔리드 스테이트(Solid-State) 방식이란, 움직이는 부품 없이 전자 회로만으로 동작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 쉽게 말하면?

기존의 기계식 장치(스위치, 릴레이, 진공관 등)는 **물리적으로 움직이는 부품(접점 등)**이 있어서 마모될 가능성이 있지만,
솔리드 스테이트 방식은 반도체 소자(트랜지스터, 다이오드, IC 등)만을 사용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더 내구성이 뛰어나고 빠릅니다.





🔥 결론!

✔️ 솔리드 스테이트 = 반도체로 동작하는 방식
✔️ 물리적인 움직임이 없어서 마모 없이 빠르고 안정적
✔️ 전자 회로로 제어하는 릴레이, 차단기, 스위치, 저장장치 등에 활용

쉽게 말하면 기계 대신 전자 기술로 동작하는 시스템! 😊




 

 쉽게 설명하면?

Class I, Division 2 지역(가연성 가스나 증기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지역)에서는 안전한 차단기, 스위치, 모터 컨트롤러만 사용 가능해.

 

 사용 가능한 장비:

  • 완전 밀폐형(Hermetically Sealed) → 내부로 가스가 들어올 수 없는 구조
  • 오일 침적형(Oil-Immersed) → 접점이 오일 속에 잠겨 있어서 폭발 방지
  • 방폭형(Factory Sealed) → 공장에서 밀봉 처리됨
  • 솔리드 스테이트(Solid-State, 접점 없음) → 표면 온도가 자동 발화 온도보다 낮게 유지됨

 일반적인 차단기나 스위치는 사용 불가! → 내부에서 불꽃이 튀거나, 가스와 접촉하면 폭발 위험 🚫

💡 결론: Class I, Division 2 지역에서는 전류 차단 방식과 구조가 엄격히 제한됨! 🔥💥

 


 NEC 위험 지역 분류

🔥 Class I (가연성 가스·증기)

  • Division 1: 가연성 가스나 증기가 정상적인 작업 중에도 존재하는 지역
    ➝ 예) 정유 공장, 화학 공장, LNG 저장 시설
  •  
  • Division 2: 비정상적인 상황(누출 등)에서만 가연성 가스·증기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지역
    ➝ 예) 가스 충전소, 연료 저장소 주변

🌫️ Class II (가연성 분진)

  • Division 1: 가연성 분진이 정상적인 작업 중에도 공기 중에 떠다니거나 쌓일 가능성이 높은 지역
    ➝ 예) 제분소(밀가루 공장), 석탄 공장, 알루미늄 분진 작업장
  •  
  • Division 2: 가연성 분진이 비정상적인 상황에서만 공기 중에 떠다닐 가능성이 있는 지역
    ➝ 예) 목재 가공 공장, 설탕 정제소

🌿 Class III (섬유·날리는 물질)

  • Division 1: 인화성 섬유나 먼지가 정상적인 작업 중에도 축적될 가능성이 높은 지역
    ➝ 예) 방적 공장, 목화 공장
  •  
  • Division 2: 비정상적인 상황에서만 인화성 섬유나 먼지가 쌓일 가능성이 있는 지역
    ➝ 예) 방직 공장 창고, 목재 가공 창고

이런 구분은 폭발·화재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전기 설비 선정 기준에 활용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