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C 규정
250.53 Grounding Electrode System Installation.
(A) Rod, Pipe, and Plate Electrodes.
Rod, pipe, and plate electrodes shall meet the requirements of 250.53(A)(1) through (A)(3).
(A) Rod, Pipe, and Plate Electrodes.
봉형(rod), 관형(pipe), 판형(plate) 접지 전극은 **250.53(A)(1) ~ (A)(3)**의 요구사항을 따라야 한다.
(1) Below Permanent Moisture Level.
If practicable, rod, pipe, and plate electrodes shall be embedded below permanent moisture level.
가능한 경우, 봉형, 관형, 판형 접지 전극은 지속적으로 습기가 있는 지하 수분층 아래에 매설되어야 한다.
→ 즉, 땅속에서 늘 촉촉한 상태로 유지되는 지하 수분층 아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미입니다. 왜냐하면 토양이 젖어 있어야 전류가 잘 흐르기 때문이에요.
Rod, pipe, and plate electrodes shall be free from nonconductive coatings such as paint or enamel.
접지 전극은 **비전도성 도장이나 코팅(예: 페인트, 에나멜)**이 되어 있으면 안 된다.
→ 전기가 잘 통하게 하려면, 전극 표면에 절연되는 물질이 묻어 있으면 안 되고, 금속이 노출되어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 쉽게 요약하면…
- 접지봉이나 파이프는 가능하면 땅속에서 젖은 층(지하수층) 아래에 묻어야 한다.
- 그래야 땅과 전극 사이의 접촉 저항이 낮아져 전류가 잘 흐르고 낙뢰나 고장 시 전류를 안전하게 대지로 흘려보낼 수 있다.
- 또한, 접지봉은 도색이나 코팅 없이, 금속이 직접 노출된 상태여야 접지가 잘 된다.
250.53 Grounding Electrode System Installation.
(2) Supplemental Electrode Required.
보조(추가) 접지 전극이 필요하다.
A single rod, pipe, or plate electrode shall be supplemented by an additional electrode of a type specified in 250.52(A)(2) through (A)(8).
하나의 봉형(Rod), 관형(Pipe), 또는 판형(Plate) 접지 전극이 설치되었을 경우, 이 전극은 반드시 **250.52(A)(2)~(A)(8)**에 명시된 유형 중 하나인 보조 전극을 추가 설치해야 한다.
The supplemental electrode shall be permitted to be bonded to one of the following:
📍그런데, 보조 전극은 아래 중 하나에 연결하면 된다:
(1) Rod, pipe, or plate electrode
(1) 기존의 rod/pipe/plate 전극
(2) Grounding electrode conductor
(2) 접지 전극 도체 (Grounding Electrode Conductor)
(3) Grounded service-entrance conductor
(3) 접지된 서비스 인입 도체 (접지된 전력선 도체)
(4) Nonflexible grounded service raceway
(4) 굽히지 않는 접지된 전력선관 (금속 전선관)
(5) Any grounded service enclosure
(5) 접지된 서비스 인클로저 (예: 전기 패널함)
Exception: If a single rod, pipe, or plate grounding electrode has a resistance to earth of 25 ohms or less, the supplemental electrode shall not be required.
접지저항이 25Ω 이하일 경우에는 보조 전극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 왜 이 규정이 중요한가요?
→ 접지 전극 하나만으로는 접지 저항이 너무 높을 수 있어서, 낙뢰, 고장 전류가 제대로 흘러가지 않을 수 있어요.
그래서 전극을 추가로 설치해서 접지 효과를 높이자는 거예요.
250.52 Grounding Electrodes.
(A) Electrodes Permitted for Grounding.
(5) Rod and Pipe Electrodes.
봉형(Rod) 및 관형(Pipe) 접지 전극
Rod and pipe electrodes shall not be less than 2.44 m (8 ft) in length and shall consist of the following materials.
봉 또는 파이프 형태의 접지 전극은 길이가 최소 2.44미터 (8피트) 이상이어야 한다.
(a) Grounding electrodes of pipe or conduit shall not be smaller than metric designator 21 (trade size 3∕4) and, where of steel, shall have the outer surface galvanized or otherwise metal-coated for corrosion protection.
파이프나 전선관(pipe or conduit) 형태의 접지 전극은
**내경 기준 3/4인치 이상 (metric designator 21)**이어야 하고
만약 강철 재질이라면,
→ 녹 방지를 위해 겉면이 아연도금 또는 금속 코팅되어 있어야 한다.
✔️ 즉, 파이프형 전극은 튼튼하고, 녹슬지 않아야 합니다.
(b) Rod-type grounding electrodes of stainless steel and copper or zinc coated steel shall be at least 15.87 mm (5∕8 in.) in diameter, unless listed.
(b) 봉형 접지 전극 (Rod-type electrodes)
- 스테인리스 스틸, 구리 도금 철, 또는 아연 도금 철로 된 봉형 전극은
- 지름이 최소 15.87mm (5/8인치) 이상이어야 함
- 단, **공인 제품(리스팅된 제품)**일 경우 이보다 작아도 괜찮음.
✔️ 즉, 일반적으로는 5/8인치 이상이 원칙이지만, 인증 받은 제품이면 예외도 가능해요.
💡 왜 이렇게 정해졌을까?
접지 전극이 충분한 땅 속 면적과 접촉해야 낙뢰나 고장 전류가 효과적으로 흐를 수 있어요.
그래서 길이와 두께, 재질 모두 전류 전도성과 **내구성(녹슬지 않기)**을 기준으로 최소 조건이 설정된 거예요.
250.52 Grounding Electrodes.
(A) Electrodes Permitted for Grounding.
(3) Concrete-Encased Electrode.
(3) 콘크리트 인케이스트 접지 전극 (Concrete-Encased Electrode)
A concrete-encased electrode shall consist of at least 6.0 m (20 ft) of either (1) or (2):
콘크리트에 묻히는 접지 전극은 다음 중 하나로 구성되어야 하며, 6.0m(20피트) 이상이어야 한다:
(1) One or more bare or zinc galvanized or other electrically conductive coated steel reinforcing bars or rods of not less than 13 mm (1∕2 in.) in diameter, installed in one continuous 6.0 m (20 ft) length,
(1) 철근(Rebar) 또는 금속 코팅된 철봉
13mm(1/2인치) 이상 지름의
**벌거벗은 철근(또는 아연 도금/도전성 금속 코팅된 철근)**이
한 줄로 연결되어 6m(20피트) 이상 설치되어야 한다.
or if in multiple pieces connected together by the usual steel tie wires, exothermic welding, welding, or other effective means to create a 6.0 m (20 ft) or greater length; or
여러 개의 철근을 사용할 경우엔,
→ 철근 철사로 묶거나, 용접 또는 확실하게 연결해야 함.
(2) Bare copper conductor not smaller than 4 AWG
(2) 구리 도체 (Bare Copper Conductor)
**벌거벗은 구리선 (피복 없는)**이어야 하며 굵기는 최소 4 AWG 이상이어야 함.
🎯 쉽게 말하면:
이 규정은 **건물 기초 콘크리트에 埋설(매설)**되어 접지를 하는 방식에 대한 기준이에요.
콘크리트에 묻히면 습기 유지가 잘 되어 접지 효과가 높아지기 때문에, 가장 안정적인 접지 방식 중 하나입니다.
- 건물 기초에 이미 **철근(철제 구조물)**이 있다면, 따로 구리선을 매설하지 않고 철근을 활용해도 됩니다.
- 단, 철근은 20피트 이상,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녹슬지 않도록 아연 도금된 것도 OK.
'NEC > 접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지전극 관련 규정2(법령, 법규, 기준, 규칙, 법, 근거, CODE, 코드) (0) | 2025.04.20 |
---|---|
서비스 인입선(전력회사로 부터 들어오는 전선 또는 케이블)의 접지 전극 도체 최소 사이즈 관련 규정(법령, 법규, 기준, 규칙, 법, 근거, CODE, 코드) (0) | 2025.04.06 |
단일 접지 전극의 접지 저항(Maximum Resistance to ground(ohm)) 문제 (0)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