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현실에서 A,B,C상 중 C상 부하가 없거나 적은 경우가 있을까?
✅ 1. 한쪽 상만 사용하는 부하 (단상 부하)의 집중
- 공장이나 빌딩에서 단상 220V 기기들이 특정 상에만 많이 연결된 경우.
- 예: A상과 B상은 에어컨, 조명 등 부하가 많은데 C상은 거의 없음.
이러면 상전류가 불균형 → 중성선에 불필요한 전류가 흐르게 됨 → 케이블 과열 우려
✅ 2. C상 케이블 단선, 접촉불량, 차단기 트립 등
- C상 케이블이 끊어지거나, 접촉불량이거나, 차단기나 퓨즈가 끊어진 경우.
- 부하가 살아있어도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며, 시스템이 불균형 상태가 됩니다.
🔹 중성선에 전류가 흐르면 어떤 문제가 생기나?
Y결선 시스템에서 3상이 균형 잡혀 있으면 중성선 전류는 0입니다.
하지만 불균형이 발생하면? → 중성선에 전류가 흐릅니다.
📌 중성선 전류 흐름에 따른 위험
문제 설명
🔥 중성선 과열 | 중성선이 오버사이즈 되지 않은 경우, 전류 흐름으로 가열, 절연열화, 화재 위험. |
⚡ 전압 불안정 (떠있는 중성점) | 중성선이 끊기거나 임피던스가 커질 경우, 상전압이 한쪽은 과전압, 다른 쪽은 저전압 발생 → 기기 파손. |
🌀 왜형 전류 문제 | 고조파 부하가 많은 경우, 3배수 고조파가 중성선에 중첩되어 흐르며 과전류 유발. |
🧯 누전 보호기 오동작 | 중성선 전류와 상전류가 맞지 않으면 누전 감지기로 오동작. |
🔹 실제 사고 사례와 연관
💥 예: 사무실 건물에서 중성선 과열 → 전기 누전 → 화재
- A상, B상에 많은 부하 집중, C상은 거의 부하 없음.
- 오래된 건물에서 중성선 케이블은 얇았고, 시간이 지나며 절연이 열화됨.
- 중성선에 흐르는 전류로 인한 발열로 누전 → 분전반 내 화재 발생.
반응형
'NEC 법규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D조명에서 왜 고조파가 많이 나올까? (0) | 2025.07.20 |
---|---|
고조파 부하가 많을 경우!! 왜 3배수 고조파가 중성선에 중첩되어 흐르며 과전류를 유발할까? (0) | 2025.07.20 |
변압기 낙뢰 보호를 위한 서지 어레스터(Surge Arrester)의 최적 위치 (0) | 2025.06.29 |
SCADA시스템, 트랜스듀서(Transducer), 화재 발생에 대한 정리 (0) | 2025.06.25 |
208Y/120V, 단상의 의미 (0) | 2025.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