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부분은 전기실 설계, UPS/서버실, 건물 배선 시 고조파 대응에서 아주 중요한 내용임.
✅ 요점 요약 먼저
- 3배수 고조파(3차, 9차, 15차…)는 A, B, C 상 모두 같은 위상이기 때문에
- 서로 상쇄되지 않고, 오히려 중성선에 중첩되어 흐름
- 그래서 중성선이 과전류를 흘리게 되고, 과열이나 화재 위험 발생
🔹 상황을 하나 설정해볼게요
예를 들어 사무실에 전자제품이 많아요:
- 컴퓨터, 프린터, 모니터, LED 조명, 복합기 등
👉 이런 기기들은 전부 비선형 부하 (Non-linear load)
👉 내부에 정류기, 인버터가 있어서 전류를 찌그러뜨려요
👉 즉, 고조파 전류를 발생시켜요
🔸 그런데 왜 하필 중성선이 위험해지냐?
🔁 일반적인 3상 균형 부하의 경우:
- A상 전류 + B상 전류 + C상 전류 = 0
→ 그래서 중성선엔 전류가 거의 없음
하지만…
🔥 고조파(특히 3배수 고조파)가 생기면?
✅ 중요한 성질:
**3배수 고조파는 A상, B상, C상 전부 같은 위상(동상)**으로 발생해요!
즉,
- A상 고조파 + B상 고조파 + C상 고조파
→ 서로 방향도 같고 위상도 같으니까 그냥 다 더해짐
→ 중성선에 3배 크기로 중첩돼서 흘러요!
🔹 결과적으로?
- 🔺 중성선 전류가 상 전류보다 더 커질 수 있음
- 🔥 중성선 과열 → 피복 손상 → 화재 위험
- ⚠️ 특히 절연이 약한 오래된 배선은 치명적
🔸 현실 사례 예시
예시 설명
🔌 사무실에서 중성선 타는 냄새 | 고조파 부하가 많은데 배선은 고조파 고려 안 했을 때 |
💻 서버실 UPS 시스템 | 고조파 유발 기기가 몰려있어서 중성선에 고조파 집중 |
🏢 LED 리트로핏 후 전기 이상 | 조명 고조파가 증가하면서 중성선에 이상 전류 흐름 |
🧯 전기 화재 조사 결과: 중성선 과열 | 단자부 절연 손상, 접지 간 트래킹 등 유발 가능 |
🔸 정리: 왜 고조파는 중성선에만 흐르나요?
구분 이유
⚡ 기본파 전류 | 상간에서 위상이 달라서 서로 상쇄됨 |
🎵 3배수 고조파 전류 | 위상이 모두 같아서 상간에선 상쇄되지 않고 중성선에 집중 |
즉,
- 상에서 상쇄가 안 되니까
- 전부 중성선으로 몰려서 흐르는 것!
💡 실무 대응
- 중성선 크기 증설 (N선 200% sizing 등)
- 고조파 필터 설치
- 절연등급 높은 배선 사용
- UPS/전원장치에 고조파 억제 기능 적용
반응형
'NEC 법규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능동 PFC (Active PFC)가 있는 LED 조명의 장점 (0) | 2025.07.20 |
---|---|
LED조명에서 왜 고조파가 많이 나올까? (0) | 2025.07.20 |
부하 불평형(불균형)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트러블, 화재, 누전, 과열, 발열) (0) | 2025.07.20 |
변압기 낙뢰 보호를 위한 서지 어레스터(Surge Arrester)의 최적 위치 (0) | 2025.06.29 |
SCADA시스템, 트랜스듀서(Transducer), 화재 발생에 대한 정리 (0) | 2025.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