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능동 PFC (Active PFC) 는 전기를 더 똑똑하게, 깨끗하게 쓰도록 도와주는 장치예요.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아주 쉽게 설명해볼게요:
✅ 기본 개념부터
전기를 쓸 때, 전압(V) 과 전류(I) 는
보통 나란히 흘러야 해요 (정현파 형태로).
그런데 조명, 컴퓨터, 전자기기는 전류를 똑바로 안 쓰고 찌그러진 파형으로 끌어다 써요.
🔌 이렇게 전류가 찌그러지면:
- 고조파(Harmonics) 가 생기고
- 역률(Power Factor) 이 낮아져서
- 전력 손실, 기기 오작동, 변압기 과부하 등의 문제가 생겨요.
✅ 능동 PFC는 뭐 하는 장치야?
능동 PFC는 쉽게 말해…
전기 파형을 바로잡는 ‘전류 형성 보정기’ 라고 보면 돼요.
즉,
❌ 찌그러진 전류 → ✅ 부드러운 정현파 전류
로 자동으로 보정해주는 회로입니다.
교류(AC)를 직류(DC)로 바꾸는 과정 자체가 "찌그러진 전류 파형"을 만들어요.
✅ 왜 그런지 쉽게 설명해볼게요
⚡ 1. 가정용 전기는 교류(AC)
- 우리 집에 들어오는 전기는 60Hz, 정현파 AC예요.
- 전압은 예쁘게 물결치는 곡선(정현파)이죠.
🔌 2. 그런데 LED, 컴퓨터는 직류(DC)가 필요
- 회로 내부에서 쓸 때는 전압이 일정하게(DC) 있어야 하거든요.
- 그래서 반드시 AC → DC 변환 과정을 거쳐야 해요.
🔧 3. 변환 과정에서 전류가 찌그러짐
- 이걸 하는 회로가 바로 정류 회로(Bridge Rectifier) + 콘덴서 필터입니다.
- 이 회로는 전압만 부드럽게 만들고,
전류는 "퉁! 퉁!" 하고 덩어리로 가져다 써요.
마치 밥을 한 입에 꿀떡꿀떡 먹듯이요 😅
📉 그 결과:
- 전류는 정현파가 아닌 찌그러진 펄스 모양이 됩니다.
- 이게 바로 고조파예요!
✅ 예시로 쉽게 이해해보기
상황 설명
PFC 없는 싸구려 LED | 전류를 덩어리로, 툭툭 끊어먹음 → 고조파 발생, 역률 나쁨 |
능동 PFC 있는 LED | 전류를 부드럽게, 일정하게 먹음 → 고조파 거의 없음, 역률 좋음 |
🧠 즉, 전기 회사가 보내주는 전기를 “예쁘고 똑똑하게” 사용하는 거예요.
✅ 능동 PFC의 구성
능동 PFC 회로에는 다음이 들어 있어요:
- 고속 스위칭 소자 (FET, MOSFET 등)
- 제어 IC: 파형 모양을 계산해서 보정함
- 인덕터, 커패시터: 파형 조절용
⚡ 이 회로들이 실시간으로 전류 파형을 감시하고, 즉각 조절해서 정현파에 가깝게 만들어줘요.
✅ 능동 PFC의 장점
장점 설명
고조파 감소 | 전력선에 찌그러진 전류가 거의 안 흐름 |
역률 향상 | 0.6 → 0.95 이상으로 향상 |
전기요금 절감 | 전력 손실 감소, 전력 품질 향상 |
안정성 향상 | 다른 기기 오작동 방지 |
✅ 시각적 비교
항목 능동 PFC 없음 능동 PFC 있음
전류 파형 | 찌그러진 모양 (비정상) | 정현파에 가까움 (매끄러움) |
고조파 | 많음 | 거의 없음 |
전기 사용 효율 | 낮음 | 높음 |
✅ 마무리 요약
질문 답변
능동 PFC란? | 전류를 부드러운 정현파로 보정해주는 회로 |
왜 필요해? | 고조파 줄이고, 전기 효율 높이고, 전기 기기 보호하려고 |
어떤 제품에 있어? | 고급형 LED, 컴퓨터 파워서플라이, 서버 장비 등 |
반응형
'NEC 법규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rner-Grounded Delta (코너 접지 델타) 시스템 (0) | 2025.07.20 |
---|---|
고조파가 적은 LED 조명의 조건 (0) | 2025.07.20 |
LED조명에서 왜 고조파가 많이 나올까? (0) | 2025.07.20 |
고조파 부하가 많을 경우!! 왜 3배수 고조파가 중성선에 중첩되어 흐르며 과전류를 유발할까? (0) | 2025.07.20 |
부하 불평형(불균형)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트러블, 화재, 누전, 과열, 발열) (0) | 2025.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