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2

핸드폰(휴대폰) 배터리(밧데리, 빠떼리, 빠때리)가 시간이 지날수록(경과할수록) 빨리 방전(닳는)되는 이유? 이유는, 배터리 속 “전기 저장 창고”가 점점 망가지기 때문이에요. 🔋 📌 쉽게 설명배터리는 전기를 담는 그릇인데, 시간이 지나면 벽에 금이 가고, 안에 찌꺼기가 쌓임충전·방전을 반복하면서 내부 화학물질이 조금씩 변하고, **전기를 저장하는 능력(용량)**이 줄어듦또, 오래된 배터리는 자기방전율이 올라가서, 가만히 두어도 전기가 빨리 새어 나감결국 같은 충전 100%라도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전기는 점점 줄어듦 → 빨리 꺼지는 느낌 💡 비유새 컵은 물을 가득 담아도 천천히 마실 수 있지만, 오래 쓰면 금이 가서 물이 새거나 컵이 작아진 것처럼,배터리도 오래 쓰면 “용량”이 줄고 “새는 속도”가 빨라집니다. 조금 더 깊게 설명드릴게요.1️⃣ 배터리 내부 구조 손상핸드폰 배터리(리튬이온)는 양극.. 2025. 8. 10.
자동방화셔터의 부품 중 하나인 유도 전동기(모터)는 자꾸 자주 고장이 날까?(Feat. 유도 전동기(모터)의 권선의 절연 코팅 파괴, 절연열화, 타거나 연기나는 현상, 소음 등 이상징후) 자동방화셔터 모터의 잦은 고장은 토크 특성과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특히 방화셔터는 평상시에는 가만히 있다가 비상 시나 시험 운전 때 순간적으로 큰 토크가 필요한 구조라서, 모터에 부하가 많이 걸립니다. 🔍 왜 토크가 고장과 관련 있는가기동 토크가 매우 큼셔터를 처음 움직일 때는 관성(무게)과 마찰을 극복해야 하므로 정격 운전 시보다 훨씬 큰 토크가 필요합니다.기동 시 전류가 정격의 5~7배까지 증가하면서 권선 발열이 심해집니다.정지-기동 반복방화셔터는 매일 지속적으로 돌지 않고, 가동할 때마다 정지 → 급기동 패턴이 반복됩니다.이때 큰 토크와 전류가 반복적으로 가해져 모터 절연 열화가 빨라집니다.🔌 토크·전류와 모터 절연의 관계모터 내부에는 **권선(구리선)**이 감겨 있고, 그 위에는 **절.. 2025. 8. 10.
GMD (Geometric mean distance =기하평균거리) 가 쓰이는 주요 분야 📌 GMD (Geometric mean distance =기하평균거리) 가 쓰이는 주요 분야 송전선로 인덕턴스 계산3상 송전선로의 단위 길이당 인덕턴스 LLL를 계산할 때,도체 간 거리를 GMD로 대표값처럼 사용합니다.예:여기서 GMR(Geometric Mean Radius)은 도체 반경의 기하평균입니다.선로 정전용량(Capacitance) 계산도체 간 전기적 간격이 커질수록 정전용량은 줄어듭니다.GMD를 통해 상 간 전위 차를 결정하는 전계 해석에 사용됩니다.전계(EMF)와 자계(MF) 설계 평가송전선로 근처 전계·자계 값 계산 시,도체 배치와 간격을 GMD로 단순화하여 계산합니다.다회선(이중회선) 송전선로 설계한 회선의 물리적 간격이 일정하지 않을 때,GMD를 사용해 균등배열 등가모델로 변환 후 계.. 2025. 8. 10.
전제어 사이리스터(싸이리스터, SCR) 브리지(브릿지) 정류기(정류회로)(Full-controlled Thyristor Bridge) 풀-컨트롤드 사이리스터 브리지(Full-controlled Thyristor Bridge) 회로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로, 다이오드 대신 사이리스터를 사용하여 출력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사이리스터의 점호 각도(firing angle)를 조절함으로써 출력 DC 전압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으며, 이는 모터 제어, 배터리 충전기 등 다양한 전력전자 응용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실무에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1. 직류(DC) 전원 만들기용도 : AC를 제어된 DC로 변환예시 :전동기(DC 모터) 속도 제어 전원전기 도금, 전해가공(전류 제어 필요)대형 배터리 충전기 (제어형 충전)장점 : 사이리스터의 점호각(α)을 바꿔서 DC 전압 크기를 조.. 2025. 8. 9.
건물, 빌딩의 공조기 팬(휀)을 PWM 제어로 어떻게 속도 제어하는가? 🧩 구조부터 알아보자: 공조기 시스템 구성공조기(AHU, FCU 등)에 들어가는 팬은 주로 BLDC 모터 또는 인버터형 AC 모터가 사용됩니다. 🔧 구성 예시: 🔄 제어 흐름 예시 (건물 냉방 시나리오) 1️⃣ 현재 온도 측정실내 온도가 28도, 설정온도는 24도→ DDC 컨트롤러(혹은 BEMS 시스템)가 온도 차이를 계산 2️⃣ 필요 풍량 계산온도가 많이 높으면 → 빠르게 식혀야 하니까 풍량↑ (속도↑)온도차가 작으면 → 천천히 식혀도 되니까 풍량↓ (속도↓) 3️⃣ PWM 신호 생성DDC가 속도에 맞게 **PWM 신호의 듀티비(Duty Ratio)**를 결정예시:80% 듀티비 → 팬 속도 80%40% 듀티비 → 팬 속도 40% 4️⃣ PWM 신호가 팬 드라이버로 전달이 신호를 받은 팬 드라이.. 2025. 7. 27.
구형파(Square Wave) 방식으로 인버터를 제어하는 이유? 실무에서 사용하는 인버터 제어 방식? VFD, VSD, PWM제어방식? ✅ 구형파 방식 제어란?각 상의 위쪽 또는 아래쪽 스위치를 일정 시간 온/오프하며 +DC 또는 –DC 전압을 상에 인가하는 방식모터 출력에는 정현파가 아닌 구형파 형태의 전압이 인가됩니다.⚙️ 왜 구형파 제어를 쓸까? (장점)1. 구현이 매우 간단함제어 회로가 단순:PWM, DSP 연산 없이도 간단한 순차 제어 회로로 구현 가능전자 스위치(IGBT, MOSFET)의 온/오프 제어만으로 동작2. 고속 스위칭이 필요 없음 → 손실 적음구형파는 스위치를 한 번 켜면 일정 시간 유지➝ PWM 제어보다 스위칭 손실, EMI(노이즈) 발생이 적음3. 저속에서 토크가 큼구형파 전압을 걸면 전류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 **시동 토크(starting torque)**가 큽니다➝ 저속 또는 부하가 큰 모터에 유리4. 비용.. 2025. 7.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