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82 퍼 유닛(per-unit) 이란? 🧠 1. 퍼 유닛(per-unit) 개념이란?🔹 퍼유닛이란?전기 시스템에서 값(전압, 전류, 임피던스 등)을 "기준값에 대한 비율"로 표현한 것입니다.예를 들어, 기준전압이 100V일 때 실제 전압이 80V라면,퍼유닛 전압 = 80 ÷ 100 = 0.8 pu🔹 왜 사용하는가? ********************************************************************************************핵심!!!발전기, 변압기, 선로가 다 다른 정격을 가질 때,하나의 공통 기준으로 계산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해요.*************************************************************************************.. 2025. 7. 6. 퓨즈(Fuse)가 과부하 보호는 왜 적합하지 않을까? 단락과 지락 사고에서 적합한 이유?(과부하, 단락, 지락 비교) 🔸 과부하 vs 단락의 차이 구분 설명 예시 과부하정상이긴 하지만 장시간 정격 이상 전류가 흐름모터에 계속 무거운 부하가 걸림단락선끼리 직접 닿아 매우 큰 전류가 순간적으로 흐름L상과 N상이 쇼트됨지락도체가 접지된 금속 케이스 등으로 누전됨누전으로 인해 인체 감전 등 위험 🔸 퓨즈는 정격보다 훨씬 큰 전류에서 빠르게 동작함퓨즈는 “일정 전류 이상이 갑자기 흐를 때” 빠르게 끊어짐즉, 단락이나 지락처럼 급격한 고전류에는 잘 반응하지만 과부하처럼 느리고 .. 2025. 7. 6. 전동기(모터) 과부하 시 보호할 수 있는 장치(서멀 릴레이(열동계전기), 전자식 보호 계전기) 🔹 1. 서멀 릴레이 (Thermal Overload Relay)✅ 개요전류가 흐르면 **히터(저항체)**가 가열됨열이 **양팽창 바이메탈(bimetal)**을 변형시켜 접점을 개방 → 모터 정지과부하 상태에서 느리게 동작✅ 구성과 작동 원리히터 코일: 전류가 흐르면 발열바이메탈: 두 금속의 팽창률 차이로 구부러짐접점 개방: 바이메탈이 움직이면 접점이 떨어져 모터 정지✅ 특징단순, 저렴, 보편적정확도 낮음 (온도, 주위 환경에 민감)동작 지연 시간 있음단락 보호 불가 → 퓨즈나 차단기와 함께 사용✅ 주로 사용하는 곳소형 또는 일반 산업용 모터MCC(Motor Control Center)의 모터 스타터 회로 등🔹 2. 전자식 보호 계전기 (Electronic Motor Protection Relay)✅.. 2025. 7. 6. Locked-Rotor Current(기동 전류)와 Y-Δ(와이-델타) 기동 방식 🔌 1. Locked-Rotor Current란?전동기(특히 유도 전동기)는 기동 시 회전자가 정지해 있어서,이때 코일에 흐르는 전류는 매우 큽니다. 이걸 Locked-Rotor Current라고 부르고,보통 정격 전류의 5~8배에 달합니다.예: 40A 전동기 → 기동 시 200~300A 흐를 수 있음 ⚠️⚙️ 2. 왜 문제가 되나요?기동 전류가 너무 크면…➤ 배선이 과열되거나➤ 전압 강하 발생➤ 전체 설비에 영향을 줄 수 있어요.🔀 3. Y-Δ 기동 방식의 원리✅ 일반적으로 3상 유도 전동기 권선은 삼각결선(Δ)으로 동작합니다.👉 하지만 기동 시에는 Y(별) 결선으로 시작해서,권선에 걸리는 전압이 1/√3배로 줄어들고,따라서 전류는 1/3 수준으로 줄어듭니다!⚡ 기동 전류 = Locked-Roto.. 2025. 7. 6. 모터(전동기, 모타, Motor)의 연속운전(Continuous Duty)의 의미(뜻) 🔹 연속운전(Continuous Duty)의 정의 (NEC 및 일반 해석)**“Continuous Duty”**란,장시간 동안 정격 부하 전류를 3시간 이상 지속해서 운전하는 조건을 말해요.(NEC에서는 Article 100, NEMA MG 1 등에서 간접적으로 정의되어 있어요.)🔹 예: 연속운전 모터펌프 모터, 팬(Fan), 송풍기, 냉각수 순환펌프 등은공장이나 설비에서 하루 종일 작동되기 때문에 "연속운전"이라고 간주돼요.→ 그래서 125% 전선 용량이 필요해요 (NEC 430.22).🔸 히터는 왜 보통 연속운전으로 안 보나요?히터도 계속 켜두면 연속 아니냐고 하셨는데,👉 **히터는 부하가 일정하지 않고, 온도제어(thermostat)**에 따라 꺼졌다 켜졌다 하죠?그래서 일반적으로 히터는 비.. 2025. 6. 29. 변압기 낙뢰 보호를 위한 서지 어레스터(Surge Arrester)의 최적 위치 🔸 왜 낙뢰는 주로 고압선(예: 12kV) 쪽에서 발생할까?낙뢰가 고압선에 더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단순히 "전압이 높아서"가 아니라, 다음과 같은 물리적·전기적 특성 때문입니다:✅ 1. 높은 위치에 설치됨 (가장 중요한 이유)고압 송전선(예: 12kV, 22.9kV, 154kV)은 높은 전봇대나 철탑에 설치되어 있음높을수록 낙뢰를 먼저 맞을 확률이 큼 (낙뢰는 가장 가까운 도체로 떨어지려 함)🔹 예시:저압선은 건물 2~3층 높이고압선은 고층 건물보다 높은 철탑 위 → 당연히 고압선이 낙뢰에 더 노출됨✅ 2. 접지 전위와 큰 전위차낙뢰는 구름과 지면 사이의 전위차 때문에 발생하는데,고압선은 이미 전위가 수천 볼트 이상이므로,→ 낙뢰 전류가 "도체를 통해 지면으로 흘러가기 쉬움"즉, 낙뢰의 경로가 되기.. 2025. 6. 29. 이전 1 2 3 4 5 6 7 ··· 14 다음 반응형